부패방지위원회(위원장 이남주)는 25일 `출범 2년간 성과와 향후 중점 활동방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은 계획을 제시하고, 이를위해 기관별 부패 관련정보의 생산·관리·활용실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겠다고 밝혔다.
정보를 통합 활용하게 될 기관은 부방위, 감사원, 법무부, 검찰·경찰, 국무조정실 등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위해 근거 규정도 마련된다고 부방위는 덧붙였다.
부방위 관계자는 “업무 효율을 위해 각종 수사·감사·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이라며 “조사가 진행중인 사안의 정보는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내달초 첫 회의를 갖는 ‘반부패 관계기관협의회’는 △국가 차원의 부패방지대책 수립 △부패방지 제도개선책 협의 △부패방지 정부대책 통합·조정 등의 기능을 맡아 앞으로 분기별 1회 회의를 원칙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부방위, 법무부, 행정자치부, 국조실,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정부혁신위원회, 국세청, 경찰청의 기관장 및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이 참여하며 감사원장도 배석한다.
이 회의에서 부방위는 안건 준비, 후속조치 총괄 등 간사단체를 맡는다.
/이승철기자 lsc@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