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그 낙천대상 중에 가장 대표적인 개혁정치인이자 실력을 갖춘 정책전문가가 들어있다면, 낙천낙선이 아닌 당선시켜야 할 정치인이 포함되어 있다면 문제는 그리 간단치 않다.
송영길 의원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함께 활동해 온 송의원은 지금까지 시민단체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온 개혁입법 활동에 가장 앞장섰고 정의를 위해 일신의 안위에 안주하지 않았던 정말 배우고 싶은 국회의원 상을 보여준 사람이었다.
영세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상가임대차보호법안(제정안)과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소액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증권관련집단소송에관한 법률안(제정안)을 대표발의했고 또한 친일반민족행위자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안(제정안)이 그의 손을 거쳐 나왔다.
국민의 생명과 세계평화를 위해 이라크 전투병파병을 반대하며 사선을 넘어 이라크 현지를 누빈 사람도 다름 아닌 송 의원이었다.
송 의원이 낙천대상자 명단에 포함된 사유는 99년 정치자금법과 2000년 선거법을 위반한 전력 때문이지만 이후 그가 국회의원으로서 보여준 성실한 의정활동을 감안한다면 여타 물갈이 대상 의원들과 동일시하는 데 있어 재고의 여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대상자 선정기준을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시민단체 스스로 2000년과 2002년 2회에 걸쳐 송 의원을 국정감사 우수의원에 선정, 개혁과 정의를 위한 그의 땀과 노력을 이미 인정한 바 있지 않은가.
개혁성과 자질면에서 보면 송 의원은 당선대상이면 당선 대상이지 결코 낙천낙선대상으로 전락될 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부패척결과 개혁완수를 위한 총선시민연대의 목적과 대의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충심으로 함께 발맞춰 노력하고 싶다.
그러나 변화와 개혁, 참여와 통합의 새로운 정치를 과연 누가 주도할 것인가를 생각할 때, 송 의원의 낙천대상자 포함은 우리 모두를 안타까움을 넘어 공황적 심리상태에 빠뜨리기에 충분했다.
혹여 한나라당과 민주당 측 의원이 많이 선정됐기 때문에 열린우리당도 배제할 수 없다는 논리에 의해 개혁적이고 실력있는 송 의원이 낙천낙선의 표적이 되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소뿔을 다듬으려다 소를 잡아버리게 된다면 이것처럼 큰 손실이 어디 있겠는가.
정치의 과거를 바로잡되 동시에 정치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준비도 함께 해야 한다는 점에서 송 의원의 낙천자 대상 선정은 아쉬운 점이 너무 많다.
송영길 의원, 그야말로 우리의 정치판을 바꿀 수 있는 진정한 파랑새이기 때문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