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부터 경영평가가 좋지 않은 지방공기업의 임·직원에 대해 인사 때 불이익을 주겠다고 정면으로 경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새로 마련, 자치단체에 보낸 `지방공기업 경영평가계획’에서 다음달부터 지방공기업의 책임경영과 경영관리, 사업운영, 고객만족 등 4개 분야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 점수가 좋지 않으면 이를 해당 기업의 임·직원 문책을 위한 인사자료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뒤 평가가 나쁜 기업에 대해서는 2차로 경영진단을 실시해 임·직원을 해임시키기도 하지만, 1차 경영평가를 문책인사자료로 활용하려는 것은 경영개선 고삐를 바짝 틀어쥐기 위한 `초강수’ 사후조치로 풀이된다.
행자부는 또 경영평가결과의 지방의회 통보, 자체 평가보고회 개최 등을 통해 경영개선에 스스로 앞장서도록 했다.
물론 성과급 차등지급이나 우수공기업 표창 및 해외연수 실시 등의 기존 조치는 그대로 시행된다.
올해 경영평가단에는 공무원 위주에서 탈피, 자치단체에서 추천받은 지방대학교수 등 외부전문가를 참여시켜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였다.
행자부는 다음달부터 8월까지 상·하수도, 공영개발사업 63곳, 지방공사, 공단 105곳 등 모두 168곳의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평가를 실시한다.
/강현숙 기자db625@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