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공직상 비위로 파면될 가능성이 있는 공직자가 미리 사표를 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면서 공직기강 확립 차원에서 이를 금지하는 대통령 훈령을 연내에 제정할 방침이라고 20일 밝혔다.
공직자가 파면될 경우 퇴직금이나 공무원연금을 일반 퇴직공직자의 절반만 받는 반면 의원면직은 전액을 모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기관이 소속 공무원을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사표를 내도록 하고 의원면직 처리해왔다.
행자부 관계자는 “비위내용이 무거워 징계위원회에서 마땅히 파면처분을 받을만한 공직자에 대해서도 의원면직을 해주는 사례가 있어 이를 막는 조치를 강구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훈령이 제정되면 검찰이나 경찰에서 조사받는 도중 사표를 내더라도 해당 기관은 처리절차가 끝난 뒤 징계위원회를 열어 징계를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염대흥 기자 ydh@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