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시의회 조규영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1997년부터 시작된 새주소 사업에 25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다른 지자체보다 먼저 새주소 체계를 완료했으나, 작은 골목까지 고유 이름을 붙이는 등 새주소에 1만7500개 도로명을 등록시켜 현재 보다 더 혼란한 새주소를 마련했다.
이는 새주소 도입의 목적을 크게 벗어난 것으로 이런 새주소를 갖고는 우체부도 찾아가지 못할 정도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조 의원은 21일 열린 제35회 정례회 2차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새주소 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면서 “여러 자치구를 지나는 하나의 도로에 각 자치구마다 다른 이름을 붙이거나 전혀 다른 곳임에도 같은 도로명을 쓰는 곳도 있어 혼란을 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가 새주소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 중”이라며 “지침을 마련하는 추이를 봐 개선사업에 착수하겠다”고 말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