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재선의 전병헌 의원은 민주당 정책위의장으로 그동안 당의 서민정책과 민생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 당내에서는 그를 ‘민주당 대표논객’, ‘실감나는 논리의 달인’,‘전략통’,‘아이디어 뱅크’라고 부를 정도다.
전 의원은 지난 6년동안 연속 국정감사 및 의정활동 최우수의원으로 선정될 만큼,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전 의원은 이에 만족하지 못한다.
그는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국감에서도 국감 우수의원에 선정돼 7관왕이 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실제 전 의원은 문방위에서 기획재정위원회로 상임위를 옮긴 후 이번 국감을 통해 ‘실물경제통’,‘민생경제통’‘서민경제통’이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었다.
그만큼 매섭게 현장경제 실태를 파고들며 정부의 정책 허점과 부실을 강력하게 질타한 사람도 드물 것이다.
해당상임위 장관과 기관장들이 그 앞에서 진땀을 흘릴 정도였다니, 그의 질책이 얼마나 따가웠을지는 짐작이 가고도 남을 일이다.
다음은 전병헌 의원과의 일문일답이다.
- 이번 국정감사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는?
▲저는 민주당 정책위 의장으로서 이번 국감에서 이명박 정부의 친서민 정책의 허구성을 파헤치고, 민주당이 참된 서민정당으로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현 정부는 친서민정책을 한다면서도 이를 법과 예산으로 뒷받침하는 데는 반대하고 오로지 4대강 사업 등 불요불급한 분야에 예산을 허비하는가하면, 부자감세 등 가진 자만을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대통령이 내세운 공정사회는 제대로 실천할 의지도 약하다. 이러한 실상을 파헤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민생국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번 기획재정부 국감에서 배추, 상추 등을 시장에서 직접 구입해서 소비자 물가를 따져 언론으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하시게 됐는지.
▲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한민국 경제사령탑이자 서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을 입안 집행하는 책임부서의 장이다. 그런데 정부는 경제침체를 지적할 대마다 거시경제적 차원에서 좋아지고 있다는 식의 거대담론만 되풀이 해 왔다. 그래서 경제수장이 도대체 서민들이 매일가는 시장, 마트 등에서 채소 값 등 소비자 물가가 치솟아 물가폭탄을 맞고 있는 사실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장관이 갑작스런 질문에 많이 당황해 했다. 궁극적으로는 이른바 50개의 MB 물가 지수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2.5배 높아졌음을 추궁했고, 현 정부의 물가관리가 완전 실패했음을 조목조목 짚어 나갔다. 그랬더니 이틑날 신문에 크게 보도됐고 일부언론에선 “나 시장 직접 갔다 온 몸이야”라는 제목을 달기도 했다. 그 이후 각 상임위 국감장에선 배추,무우가 중요한 국감 소품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 최근 통계청 국감에서는 전 의원께서 우리나라 최대 인구조사인 센스서 인구통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또 통계청장이 특임장관실에 언론보도 확산 자제요청을 했다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어찌된 일인가.
▲ 통계관련 전문학자로부터 제보를 받아 문제를 분석해보니 결국 엄청난 인력과 예산을 들여놓고 제대로 사용치 않고 있었다.
5년마다 실시하는 센서스 인구조사에 수천억원을 들이고도 공식통계로 사용치 않고, 사망률 추계도 과다해서 국민연금 고갈시기 등 미래정책 결정에 큰 혼란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이다. 통계청은 발칵 뒤집혔다. 청장이 직접 전의원실로 달려와 해명했고, 통계청이 이례적으로 두 차례에 걸쳐 해명 보도자료를 냈다.
상당히 중요한 문제 제기였는데 통계청은 해명자료를 두 번씩이나 냈다. 해명자료를 내는 것은 자유지만 문제는 또 다른데도 있었다. 통계청장이 특임장관실에 연락해서 언론보도 확산 자제요청을 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 군사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언론보도통제이고 그런 인식을 지닌 자체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 전의원께서는 4대강관련 새로운 사실도 밝혀냈는데, 구체적으로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인가.
▲현 정부가 밤낮으로 노래 부르는 4대강사업은 금도를 넘어서 돈을 쓰고 있었다. 지난해만 2,746억원을 전용한데 이어 올해는 9월30일 현재 무려 3,762억원을 시설비에서 전용해 토지매입비로 활용했다. 2년간 전용액만 6,508억원이다. 현재 토지보상은 39%밖에 안됐는데 올해 안에 추가 1000억원 정도 더 전용이 예상되는 등 과다한 토지매입비 사용이 확실하다. 또 4대강 토목공사에 대기업이 68%가까이 공사수주 다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 늘린다는 구호도 결국 헛된 구호였음이 확인됐다.
- 현정부의 부자감세 정책의 문제점도 예리하게 파헤쳤는데 어떤 시각으로 접근했는가.
▲ 현정부들어 종합부동산세가 2년 사이에 1조7,995억원이 감세됐는데 전체 감소분의 40%가 강남3구에서 감세된 것이다. 실제로 강남 3구에서 7,701억원이 감소됐다. 반면 간접세이자 소비세인 부가가치세만 지난 2년동안 5.8%(43조8198억원→46조9915억원)증가했다. 결국 서민세금인 간접세만 증가하고 부자들은 감세해준 꼴이다. 이것은 최근 불거진 국가재정 건전성문제와 재정불안문제와도 직결된 문제이기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란이 될 것이다.
- 전의원께서는 정치권에서도 유명한 IT분야의 선두주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번 기재부 국감에서 장관이 인정할 정도로 기획재정부 어플리케이션 부실운영 문제를 지적했는데?
▲ 기획재정부에서 발 빠르게 각종 경제정책, 지표, 정보 등을 스마트폰 시대에 맞게 운영하고 있는데 막상 들어가 보면 황당하다. 현재 미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이 벤버냉키인데 아직도 앨런 그린스펀으로 등재돼 있었다. DTI,햇살론 등 현정부가 많이 쓰는 시사용어도 등록조차 안 돼 있는 등 너무나 부실했다. 이런 점에 대해선 윤증현 장관도 인정을 했다. 조만간 개선되리라 믿는다.
-민주당 정책위의장으로서 각종 언론인터뷰, 방송토론 등에 단골출연자로 ‘민주당 대표논객’, ‘토론달인’별명이 있던데, 특별한 비결이 있는가?
▲ 아무래도 정책위 의장이라서 민주당 정책이나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기회가 많다보니 방송, 언론에서 자주 찾게 되는 것 같다. 항상 공부하고 토론준비를 나름대로 세밀하고 충실하게 하는 편이다 .토론이나 인터뷰 주제에 대해서 가능한 실질적인 문제들, 국민들이 필요로 하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현장의 목소리와 실태를 꼼꼼하게 체크 하는 편이다. 좋은사례들도 많이 찾고 준비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