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사면초가에 빠졌다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12-13 14:11: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민주당, '대통령 측근 비리 진상조사위' 운영
한나라, “재창당 과정에 탈당 했으면...” 기대

[시민일보]이명박 대통령이 사면초가에 빠졌다.

민주당은 13일 최근 잇따른 이명박 대통령의 친인척 비리사건과 관련, '대통령 측근 비리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운영하기로 하는 등 칼을 빼들었고, 여당인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재창당 과정에서 대통령이 탈당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명박 정권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총체적 부패비리 정권임이 증명됐다"며 "민주당은 기존 권력형 비리 진상조사위원회를 대통령 측근 비리 진상조사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임기 말 대통령 친인척 측근비리가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 대통령의 영문 이니셜 MB가 '멀티비리'로 통한 지 이미 오래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진상조사위는 내곡동 사저 게이트, 형님 게이트, 사촌오빠 게이트, 저축은행 게이트, 이국철 게이트 등 각 비리 사안별로 전담 TF를 구성할 것"이라며 "진상조사위 활동을 통해 이명박 정권의 총체적인 부패 비리를 발본색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10·26 선관위 사이버 테러사건에 대해 "검찰은 사이버테러가 보이지 않는 배후세력이 치밀히 준비한 기획테러라는 국민적 의혹을 속 시원히 풀어야 할 것"이라며 "검찰마저 사건의 실체를 밝히지 못할 경우 특검을 도입해서 진실을 반드시 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도 서면브리핑을 통해 “대통령 측근 비리 게이트, 도대체 어디가 끝이냐”고 한탄했다.

그는 “검찰에 따르면, 박배수 보좌관을 비롯한 이상득 의원실의 보좌진들이 조직적으로 ‘돈 세탁’을 했다고 한다. 비서진 7명 가운데 5명이 개입된 자금 세탁을 두고, ‘보좌관의 실수’라던 이상득 의원의 변명을 이제 어느 누구도 믿지 않을 것”이라며 “‘만사형통’, ‘상왕’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 냈던 이상득 의원이 보좌관이 구속되자마자 마치 측근 표적수사의 희생양인 양 고개를 떨구면서 서둘러 불출마 선언을 했던 데에는 다 이유가 있었음이 드러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 형님의 보좌관이 거액의 수뢰 혐의로 구속된 것도 용납될 수 없는 일이지만, 특히 해당 사건이 보좌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이상득 의원실 자체가 ‘자금세탁’의 통로가 되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니 참으로 경악스러운 일”이라고 비난했다.

또 이 대변인은 “검찰은 4억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된 김재홍씨가 일부 경제부처 관료와 금융감독원 직원에 대한 인사를 청탁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대통령의 사촌처남이라고 해서 고위 경제 관료의 인사에 개입하고 방만한 기업의 퇴출을 막으려 했다니, 대통령 친인척에 의한 권력형 비리의 끝이 도대체 어디가 될지 모골이 송연할 지경”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그는 “우려스러운 것은 정권 말기에 연이어 터지고 있는 모든 비리사건의 중심에 ‘대통령’이 있다는 점”이라며 “대통령 측근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은 이명박 정권의 도덕성이 이미 ‘파산’의 지경에 이르렀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국민들은 지금 제기되고 있는 갖가지 대통령 친인척 비리를 ‘빙산의 일각’으로 확신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은 진정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작금의 상황에 대해 ‘눈 질끈 감고 욕 한번 더 얻어먹는’ 정도로 넘어갈 생각이라면, 그것은 큰 오산”이라며 “오죽하면 민주당이 ‘대통령측근비리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대변인은 “만약 이 정부에서 진실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음 정부에 가서 반드시 비리 전말을 철저히 파헤쳐 다시는 이 땅에 대통령 측근비리가 창궐하지 않도록 역사적 교훈을 남길 것”이라며 “이러한 역사적 비극에 맞닥뜨리지 않으려면, 측근비리에 대한 무한책임이 있는 대통령 스스로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고 철저한 검찰 수사 촉구 등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이명박 탈당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심지어 한나라당 내 최대 세력으로 활동해왔던 친이계 의원들도 ‘대통령 탈당론’을 공식 제기했다.

실제 친이계 지원을 받아 지난 7·4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됐던 원희룡 의원은 전날 의원총회에서 "헌 집에서 새집 갈 때는 버릴 것은 버리고 가야 한다"며 "새 정치를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버려야 할 것은 미안하지만 이명박 대통령 관계"라고 말했다. 사실상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날 권영진 의원도 한방송에 출연해 “한나라당에서 이명박 색깔을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그는 당의 재창당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신당에 입당하지 않는 방식으로 탈당하는 문제에 대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면서 "이 대통령은 중립적 입장에서 선거를 관리하고 국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옳은 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이 대통령 탈당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과 관련, "아직 대응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