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논란이 국가정보원의 정치·대선 개입 의혹으로 뒤바뀌는 양상을 보이는 등 점입가경(漸入佳境)이다.
실제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대선 전 이미 회의록을 입수했으며, 이를 국정원이 제공했다는 의혹을 새롭게 제기했다.
이 같은 의혹은 지난 26일 민주당 박범계 의원의 녹취록을 공개하고,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의 비공개 발언이 일부 언론에 보도되면서 불거졌다.
박 의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권영세 주중대사(前 새누리당 대선캠프 종합상황실장)가 대선 전 지인들에게 한 얘기라며 녹취파일을 공개했다. 해당 파일은 도청한 게 아니라 제보된 것이라고는 설명도 덧붙였다.
박 의원이 재생한 파일에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대화록을 보고했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하지만 재생파일에 담겨 있는 음성이 선명하지 못해 음성의 주인공을 권영세 주중 대사라고 못 박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였다. 그래서 의혹은 흐지부지 되는 듯 보였다.
그런데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 대선캠프 총괄본부장을 맡았던 김무성 의원의 비공개 발언 보도로 파장이 더욱 커지고 말았다.
실제 일부 언론은 김 의원이 이날 비공개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지난 대선 때 이미 내가 그 대화록을 다 입수해서 읽어봤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의원은 "그 원문을 보고 우리 내부에서도 회의도 해 봤지만, 우리가 먼저 까면 모양새도 안 좋고 해서 원세훈에게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했는데 원세훈이 협조를 안해줘 가지고 결국 공개를 못한 것"이라고도 했다.
즉 원 전 국정원장이 대통령 선거 때 도움을 주기는커녕 아주 비협조적이었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민주당 등 야당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면서, 박근혜 정부 흔들기에 나섰다.
물론 김무성 의원이 대화록을 대선 전에 입수 했다면, 그것은 절차상 심각한 문제임이 틀림없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그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 보인다.
실제 김 의원이 대선을 불과 5일 앞둔 시점인 지난해 12월14일 부산 유세현장에서 미리 준비한 쪽지를 읽었었는데 그 내용이 최근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과 상당부분 일치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이후 민주평통 행사 등에서 NLL 문제와 관련해 발언한 내용을 종합해서 만든 문건을 보고 부산 연설에서 활용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그 해명에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게 문제의 본질은 아니다.
문제의 본질은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포기하는 발언이 있었느냐, 아니냐 하는 점일 것이다.
더구나 이를 가지고 국정원의 대선개입을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억측이다.
따라서 여야 각 정당은 이제 이쯤에서 '盧 NLL 포기 발언'에 대한 논쟁을 접고, 민생을 먼저 살피는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바란다.
만일 이대로 계속해서 '盧 NLL 포기 발언'에 대한 논쟁을 지속해 나간다면 국론은 분열되고 말 것이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국민의 의견은 지금 극단적으로 양분돼 있는 상태다.
지난 25일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전국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ARS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회의록에서 드러난 노 전 대통령의 발언 내용에 대해서는 ‘적절했다’가 35.1%, 적절‘하지 못했다’가 37.8%로 팽팽하게 맞섰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 포인트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아무리 치고받아도 국민의 의견은 어느 한 쪽의 손을 전적으로 들어주고 있지 않다는 뜻이 여론조사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어쩌면 양당이 이처럼 치고받을 때마다 국민들은 양당의 정쟁에 염증을 느끼고, 제3 세력인 안철수 신당 쪽으로 지지를 옮겨갈 지도 모른다.
모쪼록 양당 지도부는 지금이라도 균형 있는 감각을 되찾아 가기를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