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파업은 코레일과 전국철도노조가 지난 7일 오후 4시부터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최연혜 사장과 김명환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실무협상에 나섰으나, 노사정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다.
이에 따라 서울 지하철의 경우 서울메트로가 단독 운영하는 2호선의 경우 정상 운행이 가능하지만, 코레일과 함께 운영하는 1·3·4호선은 전동차량 운행 횟수가 감소돼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특히 분당선과 안산선 및 경인선철도의 경우 코레일이 운영하면서 전동차 배차간격이 평소에 비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출퇴근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미 새마을호나 무궁화호의 경우 평소 운행 대비 약 60%으로 시민들이 큰 불편이 시작된 상태다.
이와 관련 코레일은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 직원 비상근무를 선포·비상대책본부를 구성,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했다.
우선 국토부와 코레일은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통근·광역열차에 대체인력 6022명을 투입해 총 1만4664명이 파업기간에서 철도현장을 지키며, 평상시와 같은 정상 운행 수준을 유지하도록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한 평시 대비 60% 수준으로 운행이 줄어들게 되는 새마을·무궁화 등은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장기화로 통근·광역열차 운행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서울지하철 증회 운행, 버스노선연장·증편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완화시킬 계획이다.
다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대체 시민들의 교통 불편은 물론 수출입 기업들에게 중요한 화물열차 운행 감소(평소 36% 수준)로 산업계에 큰 피해가 우려된다.
장진복 코레일 대변인은 "오전 9시를 기점으로 파업 참가자는 2400여명, 약 32%"라며 "나머지 68%가 정상 출근했으며, 지난 6일간 평시대비 16.7%(10만3000t)의 화물과 5일분의 사용량인 시멘트 24만t을 사전 수송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장홍 기자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