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외적 안정위해 이산가족상봉 주용"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4-01-27 10:57:34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장성택 처형 이후 경제난 극복도 중요시"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시민일보] 북한이 최근 우리 정부의 이산가족 상봉 개최제안을 수용한 것에 대해 대북전문가인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가 “북한은 대외적인 안정을 위한 가장 기본조건이 남북관계 개선이라고 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27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경제난 극복을 위해 대외적인 안정이 필요하고, 그 대외적인 안정을 위한 가장 기본조건이 남북관계 개선이기 때문에 우리측의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수용한 것”이라고 그 배경을 추측했다.

그는 “북한측 입장에서는 지난 해 장성택 처형 이후 국내적으로 김정은 체제가 강화됐다, 안정화 됐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국내체제 안정화 이후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주민들의 생활개선, 다시 말해 경제난 극복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북한의 이같은 화해 제스처에 대해 ‘위장 평화공세’라며 진정성을 보일 것을 요구한 것에 대해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고뇌에 찬 결단의 자리이지 대북 분석가의 자리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위장 평화공세니, 선전공세니 하는 말은 통일부 정세분석 국장이 할 수 있는 말이고 대통령께서 말씀하시긴 적절하지 않은 것”이라며 “남북당국간에 불신의 골이 깊고 대립과 대결의 남북관계일 때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고, 포용정책 시기라든지 남북화해협력 시기에는 이러한 용어들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이같은 선전공세 이후 도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선전공세 이후 잣대에 따라 달리 분석할 수 있는데, 2010년도 남북간 실무회담을 하고 난 이후 곧장 천안함 사건, 또는 이산가족 상봉 이후 2010년 11월 연평도 사건 등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위장평화공세 이후 도발이라고 평가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위장평화공세인지 아닌지를 말하기 전에 그것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설령 위장평화공세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오히려 위장평화공세가 되지 않도록 우리가 사전에 예방해야 할 것”이라며 “국방력을 중심으로 한 억지력을 강화하는 문제이고, 두 번째는 대화와 교류협력, 그것을 하는 것이 아마 예방억제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