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림 국회의원] 나는 여자니까

문정림 / / 기사승인 : 2014-02-04 18:14: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문정림 국회의원
인생을 바라보는 태도와 관련하여 자주 드는 비유 중 하나는 물이 반쯤 찬 컵 이야기다. 물 컵을 바라볼 때 긍정적인 사람과 부정적인 사람은 서로 다른 태도를 보인다. 그리고 인생이라는 긴 여정 속에서 이 태도의 차이는 많은 부분을 결정한다.

여성들은 종종 ‘나는 여자니까’라는 생각을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문구가 생략되어 있다. 하나는 ‘나는 여자니까, 이 정도는 양해해주겠지’이고, 다른 하나는 ‘나는 여자니까, 이것은 불가능해’이다. 다시 말하지만 태도는 많은 것을 결정한다. 그래서 이 두 가지 태도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나는 여자니까, 이 정도는 양해해 주어야 한다는 생각은 배려를 가장한 이기주의이다.

우리는 직장이나 각종 모임 등에서 여성임을 이유로 각종 특혜를 요구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출산과 양육 등 여성의 생물학적 특성에서 비롯된 배려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것은 ‘다름’에 대한 존중이다. 그러나 여성이 바라는 그 모든 배려가 타당한 것인지 겸허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작년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 결과 57%의 남성이 여성이 더 이기적이고, 궂은일이나 손해 보는 일은 안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답했다.

여성이 남성은 바랄 수 없는 배려를 원하고, 남성은 이를 불합리한 차별이라고 느낄 때 진정한 소통과 이해는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남성 중심의 문화와 여성에 대한 편견은 공고해진다. 여성 스스로 할 수 있는 것과 해야 할 것에 책임감을 가지고 남성에 대등해 질 때, 남성도 여성을 존중하고 자신과 대등한 상대로 인정한다.

나는 여자니까, 이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은 포기와 다름없다.

1950년대 약 20여명에 불과했던 여성 의사면허 취득자 수는 2004년부터 1000여명을 넘어서고 있다. 작년 12월 임용된 신임법관 32명 중 28명이 여성이었고, 행정고시 일반직 합격자의 56%, 외무고시 합격자의 59.5%가 여성이었다. 육·해·공군 사관학교 수석입학 및 수석졸업 매년 여생도가 휩쓸고 있으며, 여기자나 여교수, 대기업의 여성임원도 이제는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물론 현실은 녹록치 않다. ‘유리천장’은 여전히 존재하고, 출산과 양육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 문제도 심각하다. 그러나 남성위주의 사회관습과 문화를 탓하며, 지레 포기하는 것은 스스로를 무시하는 처사다. 수많은 여성의 노력과 희생으로 여성의 사회진출과 역량발휘는 조금씩 늘어났다. 남성들에게만 문제의 원인을 돌리지 말고 자신을 믿고 용기를 내야 한다.

물론 남성들이 이 문제로부터 온전히 결백하다는 것은 아니다. ‘여자니까’라는 편견은 남성들 머릿속에도 단단히 자리 잡고 있다.

미국 남성들은 ‘금발여성은 똑똑하지 않다’는 편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예일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연방 상원의원과 국무부장관을 지냈으며 차기 미 대권 후보로 꼽히는 금발여성이 있다. 힐러리 클린턴이 그 주인공이다.

편견이라는 렌즈는 피사체를 왜곡한다. 남성들은 편견을 깨뜨려야 ‘그들이 사는 세상’의 ‘다르지만 같은’ 조화로움을 볼 수 있다.

지금은 여성의 잠재력을 얼마나 발휘하느냐가 국가의 미래와 경쟁력이 좌우되는 시대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이를 인식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확대하고 양성평등을 확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새정부는 공직, 교직, 공공기관 및 정부위원회의 여성참여 확대,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일자리 제공 및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정착 등을 국정과제로 정해 추진 중에 있으며, 새누리당은 여성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여성이 좀 더 즐겁고 활발하게 일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새누리당과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진정한 양성평등과 여성의 행복을 달성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여성 각자의 태도이다. 설리반 선생님의 진심어린 조언과 도움도 헬렌켈러 개인의 용기와 노력이 없었다면 소용 없었을 것이다. 여자니까 양해해 달라는 배려와 여자니까 안 될 거라는 태도를 고쳐야 한다. 생각해 보면, 여자라서 유리한 분야와 기회도 보일 것이다. 할 수 있다는 진취적 도전정신이 필요한 때다.

새누리당은 지금 여성 보좌진 교육이 한창이다. 새누리당은 성공을 꿈꾸며 도전하는 여성을 환영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새해에는 더 많은 여성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는 사회, 더 많은 여성이 행복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정림 문정림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