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프리미엄 물티슈 브랜드 몽드드는 "공신력 있는 검증기관을 선정하고, 합리적 기준 법안 상정이 현실화 되지 않는 이상 물티슈 업계 전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만 키울 수 있어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7~8개월 사이에 MBC ‘불만제로UP' 등 여러 매체들의 물티슈 성분 결과 발표가 화제에 오르기를 수차례하고 있다”며 “이들 보도에서는 하지만 어떠한 기준에서 문제가 있는지 관련 제품에 대한 발표가 명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건강하게 물티슈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까지 피해자가 되어 물티슈 시장을 전반적으로 멍들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물티슈 성분 논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몽드드는 소비자들의 궁금증 해소와 정보공유를 위해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자체적으로 현행 국내 물티슈 분류에 따른 공산품 관리 기준이 아닌 화장품법 기준을 적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지난 6월부터 업계 최초로 전 성분 공개를 진행해 오고 있다. 미국 비영리단체 EWG의 화장품 분야인 스킨딥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홈페이지와 각 마켓 상품 상세정보 페이지에 전 성분의 안전성을 소비자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있는 것.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는 화장품 원료에 대해 소비자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안전도에 관한 정보를 등급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화장품 및 농업, 식품, 에너지 방면으로 인류의 건강과 환경문제를 연구하여 자료를 공개하는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비영리 기관이다.
이와 관련해 몽드드 유정환 대표는 “불만제로 방송 이후 마치 EWG에서 검색이 되면 유해한 성분인 것처럼 오해가 확산되고 있어 소비자와의 정확한 정보의 공유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루머를 해프닝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마녀사냥으로 확산될 경우 강력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한편 몽드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화장품 원료로 등재되어 있는 성분들로 EWG에서도 0~3의 안전한 등급으로 지정된 원료를 물티슈 보존제 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매월 국가공인 시험인증기관에 자체적으로 유해물질에 대한 성분 테스트를 의뢰하고 있으며, 논란이 되고 있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MIT, CMIT를 비롯한 11개 유해물질에 대해 불검출 시험 성적서를 소비자에 공개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피부자극테스트를 의뢰, 자극이 없는 것으로 최종 통보를 받았으며 합격점을 받은 시험 성적서는 오는 10일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