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내정자는 대구지검 특수부장, 법무부 법조인력정책과장,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장, 대검 중수1과장, 대검 범죄정보기획관, 대검 수사기획관 등을 역임했으며 '이용호 게이트', '박연차 게이트', 부산저축은행 대출비리 등을 수사한 검찰 특수통으로 꼽혔다.
특히 2009년 대검 중수1과장 시절 박연차 게이트를 수사하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대검 중수부로 직접 소환해 대면조사한 바 있다. 지난해 4월 검사장 승진에서 탈락하자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자리를 내려놓고 변호사로 활동해 왔다.
박 대통령은 또 지난 4월 조응천 전 비서관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공직기강비서관 자리에 권오창(49·사시 28회) 변호사를 발탁한 것으로 전해졌다.
권 내정자는 서울민사지방법원을 시작으로 12년간 판사로 근무했으며 이후 김앤장에서 변호사로 활동중이다. 박 대통령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의 법정치분야 발기인으로도 참여했다.
아울러 새누리당 일부 기초의원 출마 신청에 관여했다는 의혹으로 사임한 임종훈 전 민원비서관의 후임으로는 판사 출신의 김학준(48·사시 31회) 김앤장 변호사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중희(47·사시 33회) 현 민정비서관이 이번 인사로 검찰 복귀 가능성이 점쳐져 논란이 예상된다.
현행법에서는 대통령실에 검사를 파견하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현직검사가 퇴직 후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뒤 또 다시 검사로 재임용되는 등 편법으로 파견근무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박 대통령도 대선공약으로 "검사의 외부기관 파견을 제한해 정치권 외압을 차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난해 정부 출범 당시 민정비서관에 현직 부장검사였던 이 비서관을 임명한 데 이어 현직 검사 4명이 사표를 내고 민정수석실로 자리를 옮겨 논란이 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