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민간부위원장에 전 주(駐)중국대사인 정종욱 인천대 석좌교수(74)를 임명하고 정부측 부위원장은 류길재 통일부장관이 맡게 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통일준비위 구성과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정부측 위원으로는 부위원장인 통일부장관을 포함해 기획재정·외교·국방·법무·문화체육관광·국토교통부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등 11명이 참여한다.
국회의원으로는 새누리당 주호영·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의원 등 여야 정책위원회 의장 2명이 당연직으로 참여하며 통일연구원, 국립외교원, 한국개발연구원, 국방연구원, 국토연구원,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등 6개 국책 연구기관장이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됐다.
민간부위원장을 포함한 민간위원 30명은 외교안보(고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실장 등 9명), 경제(김동근 한국산지보전협회 명예회장 등 7명), 사회문화(고건 전 국무총리 등 7명), 정치법제도(강인섭 강우규의사기념사업회 대표 등 7명) 등 총 4개 분야로 분류해 구성됐다.
주 수석은 "민간위원들은 통일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인사들을 선임했다"며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을 만들어 가기 위해 학계, 관계, 경제계, 사회단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훌륭한 역량을 갖추고 계신 분들을 모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의 중요성을 감안해 다양한 배경과 철학을 갖춘 분들이 참여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통일준비위는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시민자문단, 통일교육자문단, 언론자문단 등 자문단도 구성해 운영한다.
시민자문단에는 시민단체, 직능단체 등 120여개의 단체가 참여하고 통일교육자문단에는 대학 총장 30명, 고등학교 교장 20명 등 50명이 포함됐다. 언론자문단은 통일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전·현직 언론인 18명이 참여한다.
이처럼 구성된 통일준비위는 오는 8월 초 열리는 1차 회의를 통해 운영을 본격화하게 된다.
1차 회의의 경우 첫 회의인 만큼 통일준비를 위한 과제와 추진방향을 비롯해 조직 정비, 운영세칙, 향후 운영을 위한 행정 절차 등을 논의하게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