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연령층을 말한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13~2040'에 따르면 전국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 3704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0년 2887만명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이는 전체인구 5109만1000명의 56.5% 수준이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49.1%이고 ▲울산(59.6%) ▲서울(59.5%) ▲대전(59.3%) 등 16개 시도는 그나마 50~60%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65세이상 고령인구는 2013년 614만명에서 2040년 1650만명으로 3배 가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국적으로 볼 때 25%(추산)를 넘어는 규모다.
이 가운데 전통적 농촌지역인 ▲전남(41.1%)과 ▲경북(40.3%)은 4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세종 25.7% ▲울산 28.0% 등 6개 시도는 30% 미만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 평균 중위연령(연령에 따라 인구를 나열해 중간 나이)은 52.6세로 2013년 39.7세보다 13.0세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중위연령은 ▲세종(47.6세) ▲광주(49.4세) ▲경기·대전(49.7세)을 제외한 13개 시도가 50세가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0~14세의 유소년 비율은 2040년 평균 11.2%(572만명)에 머물 전망이다. ▲부산·경북(각 9.2%) ▲강원·전남(9.7%) 등 4개 시도는 10% 미만, ▲세종(15.7%) 등 13개 시도는 10~16% 수준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