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한일 간 협상 끝에 조선인 강제징용 시설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이 지난 5일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지만 한일간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이 과정에서 밝히 'forced to work'라는 명문을 해석을 놓고 우리정부는 강제노역을 인정한 것이라고 강조한 반면 일본 정부는 강제성은 아니라는 전혀 다른 견해를 내놓으면서다.
이날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정부 수석대표는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forced to work)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이같은 발언에 대해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이 자기 의사에 반해 노역했다는 것을 사실상 최초로 일본정부가 국제사회 앞에서 공식적으로 언급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역대 일본정부를 통틀어 국제무대에서 공식적으로 조선인 강제징용을 인정한 사례가 없었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최종적으로 양측이 접점을 도출한 것 자체에 의미를 둬야 한다"며 "대화를 통해 풀어가는 분위기를 잘 살리면 선순환적인 영향을 미쳐서 다른 현안에 있어서도 분위기를 조성,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본 내부에서는 하루만에 이번 협상 결과에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대신은 6일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 정부와 정반대 견해를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본정부가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 이행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관련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