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에서 열린 경원선 남측구간 철도복원 기공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축사를 통해 "북한도 이제 적극적으로 문호를 개방하고 변화의 길을 선택해서 함께 번영하고 발전하는 미래를 만들어 가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먼저 "광복 70주년, 분단 70년을 맞는 해에 남북의 허리를 잇는 경원선 복원사업의 첫 삽을 뜨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2015년 8월 5일 오늘은 우리 모두가 평화통일을 반드시 이루고 실질적인 통일준비로 나가고자 하였던 역사적인 날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원선은 우리 민족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분단 이전, 서울과 원산을 잇는 223.7㎞의 경원선은 남과 북을 이어주는 소통의 통로였다"며 "그리운 가족과 친지를 향해 달려가는 발걸음과 철원역을 지나 금강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나던 학생들의 추억이 깃들어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의 끊어진 경원선은 북한의 가족을 그리는 눈물과 긴 세월을 하염없이 기다렸던 탄식의 길"이라며 "경원선을 다시 연결시키는 것은 한반도의 아픈 역사를 치유하고 복원해 통일과 희망의 미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정부는 긴 안목을 갖고, 중국의 일대일로,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미국의 신실크로드 구상과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을 연계시키는 창의적인 협력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은 하루속히 손을 맞잡고 한반도의 끊어진 대동맥을 잇는 평화통일의 여정을 시작해야 한다"며 "북한은 우리의 진정성을 믿고 용기 있게 남북 화합의 길에 동참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1단계로 2017년까지 경원선 백마고지역-월정리역 간 9.3㎞ 구간의 단선철도를 복원하는 사업으로 정부는 이와 병행해 DMZ 및 북측구간 연결을 위한 남북 간 협의도 진행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경원선은 서울 용산역과 북한의 강원도 원산을 잇는 223.7㎞ 철도노선으로 남측 구간은 서울 용산역에서 철원군 백마고지역까지 94.4㎞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