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러한 현상을 입증하듯이 올해 2016년 6월 성남여주복선전철 개통을 앞두고 지난해 광주시 집값상승률은 인근 성남, 용인 지역보다 높은 9.7%의 상승률을 기록하였으며, 순유입인구수도 매년 증가치를 보이고 있어 지난 2007년 23만여명이었던 광주시 인구는 매년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2015년말 기준 32만을 넘어섰다.
광주시는 기존 2020년까지 인구 36만8000명의 도시계획을 수립했으나, 인구 증가 추세가 예상치보다 훨씬 웃돌아 '2030 광주시도시기본계획 설계'를 앞당겨 인구 50만의 수도권 동남부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 광주시는 상수도보호구역으로 '오수총량제' 규제 등으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난개발 빌라단지 위조로 주거단지가 형성되어 왔으며 그동안 공급된 아파트도 500세대 미만의 소형단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 분양한 태전지구의 경우 e편한세상 911세대, 태전 아이파크 640세대, 태전 힐스테이트 3146세대로 언뜻 대규모 단지로 보여지기는 하지만, 개별적인 관리사무실을 갖추고 있는 개별단지로, e편한세상은 3개블럭으로 단지당 평균 303세대, 태전 힐스테이트는 6개블럭으로 단지당 평균 524세대로 구성되어 있고 유일하게 태전 아이파크만이 단일블럭 640세대로 태전지구내 단일단지로는 최대단지로 조성된다. 마찬가지로 역동 e편한세상은 6개블럭 2122세대로 단지당 평균 353세대로 나누어져 있다.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아파트는 단일블럭 1425세대 대단지로 조성되어 사실상 광주 최대단지이다. 대우건설이 광주시 쌍령동에 공급하는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는 단지 내 조경 면적만 4만3903㎡로 전체의 45.5%를 차지한다. 회사 측에서 공원 외 추가 구매한 주변 경관녹지를 더하면 조경과 공원 면적이 9만2873㎡에 달한다. 이는 단지 전체 대지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명실공히 '숲속 아파트'로 평가되는 이유다.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의 분양가는 3.3㎡당 900만원 대 초반으로 책정되었다. 이는 최근 광주시 태전지구에 공급된 '힐스테이트 태전' 3.3㎡ 당 평균 1150만원대, '태전 아이파크' 1090만원 보다 3.3㎡당 100만원 이상 저렴하며, 980만원 대에 공급된 'e편한세상 태전2차'보다도 저렴한 분양가다.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는 지하2층~지상20층 18개동, 분양면적 62㎡(구26평형) 422세대, 74㎡(구30평형) 343세대, 84㎡(구33평형) 660세대 총 1,425세대로 구성된다. 단일 단지로는 광주시 최대 규모이다. 대단지임에도 용적률은 150%에 불과하여 입주민들은 넓고 쾌적한 웰빙라이프를 누릴 수 있다. 주차공간도 넉넉하게 확보했다. 1850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은 지상에 82대, 지하에 1768대로 분산되어 세대당 1.3대 주차가 가능하다.
사업지인 광주시 쌍령동 일대는 광주시 중심가를 이루는 곳으로, 쾌적한 자연환경까지 더해져 이른바 '도심 속 전원단지'를 실현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로 꼽힌다.
앞서 분양한 태전지구보다 광주시내와 광주역 접근성이 더 뛰어나,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는 경기 성남과 여주를 잇는 복선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광주역'까지 차로 5분거리에 위치해 올 6월 개통 시 판교역까지 3개 정거장, 서울 강남역까지는 7개 정거장이면 도착할 수 있다. 30분 이내에 수도권 주요 도심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2017년까지 전 구간이 개통될 예정인 성남~장호원 자동차전용도로도 단지 인근까지 들어와 있어, 자동차로 분당, 판교까지 10분대에 이용이 가능하다. 인근에 제2영동고속도로도 올해 개통예정이다.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 아파트의 입주시기인 2018년 4월에는 수도권은 물론이고 전국을 잇는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보유하게 될 전망이다.
부동산전문가들은 '길 따라 부동산이 보인다'라고 말할만큼 교통환경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동안 저평가 받아온 광주시가 최근 연이은 교통 호재와 인근 판교 테크노밸리 개발 등이 맞물리면서 분당과 판교, 용인 서울 등 인접지역의 수요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광주 센트럴 푸르지오 모델하우스는 광주시 역동에 운영중이며 원활한 상담을 위하여 사전예약제로 운영된다.
방문예약 대표번호 : 1644-4756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