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요즘 인터넷상에서 국민의당을 지지하는 글이 자주 눈에 뜬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제안한 ‘야권통합’제의를 단칼에 거절한 이후부터다. 실제 지난 4일 국민의당은 최고위·의총 연석회의와 비공개 최고위를 통해 “더 이상 통합에 대한 논의는 불가하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다.
심지어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김종인 대표의 야권통합 제안은 물론 '수도권 연대'에 대해서도 '불가'입장을 분명히 했다.
안 대표는 지난 6일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권통합으로 의석을 몇 더 늘릴 수 있을지는 몰라도 정권교체의 희망은 없다”며 통합 제안을 단호하게 거부했다.
특히 그는 "국민의당과 저는 힘들고 두려운 광야에 있다. 물도 없고 먹을 것도 없고 사방에는 적들뿐이지만 그래도 돌아갈 수는 없다"며 "저를 포함해 모두 이 광야에서 죽을 수 있다. 그래도 좋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안 대표의 결연한 의지를 응원하는 글이 봇물을 이루었다.
항상 여론의 추이를 살피는 언론인의 입장에서 볼 때 이런 추세라면 국민의당 지지율은 하락세를 접고 반등세로 돌아갈 것이 분명해 보인다.
어쩌면 여론에 민감한 호남의 경우 국민의당 지지율은 더민주와 격차를 더욱 벌리면서 제1당의 위치를 굳히게 될지도 모른다. 그럴 경우 전국, 특히 수도권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야권주도권 다툼에서 더민주를 압도할 가능성도 있다. 아마도 지금 여론조사를 실시하면 국민의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는 사건이 발생했다.
국민의당이 수도권에서의 야권 연대 문제를 놓고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을 두고 하는 말이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마포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수도권에서라도 야권이 연대해야 한다’는 지적에 "저희의 목표는 기존의 거대 양당구조를 깨는 일"이라며 연대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저는 우리 당이 교섭단체 이상의 의석만 확보한다면 여당이 개헌선을 넘든 말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정치를 해서는 안 된다"며 반기를 들고 나섰다.
새누리당 독주를 막기 위해 더민주와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천정배 공동대표도 이날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에 개헌저지선을 주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김 위원장의 발언에 공감을 표시했다.
천 대표는 또 "국민의당이 설령 80~90석을 가지더라도 (새누리당에) 개헌저지선을 내 주는 것은 나라의 재앙"이라며 수도권 연대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안 대표가 ‘독자노선’을 천명했음에도 왜 김 위원장과 천 대표는 ‘연대’를 주장하는 것일까?
그것은 자신들이 처한 지역구 사정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우선 안 대표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자신이 승리할 것이라는 데 추호의 의심도 없는 상태다.
반면 김한길 위원장은 <시민일보>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더민주 전혜숙 후보와의 3자 대결에서 3위로 밀려났는가하면 새누리당 전지명 후보와의 양자 가상대결에서도 패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그만큼 지역구 사정이 좋지 않다는 말이다.
천정배 의원 역시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더민주가 천 대표의 지역구인 광주 서구을에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를 전략 공천했기 때문이다. 당초 천 대표가 무난하게 당선 될 꺼라 생각 했던 광주을에 생각지도 않은 양향자 삼성 전 상무가 치고 들어온 것이다. 광주의 젊은 사람의 표를 지지 받지 못하면 자칫 양향자 상무에게 당선을 뺏길 수도 있는 상황이인 것이다.
이런 정황들에 비춰볼 때 천 대표나 김 위원장의 ‘야권연대론’은 그 어떤 명분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한 안타까운 몸부림처럼 보일 뿐이다.
문제는 그렇게 자신의 안위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지도부의 일원으로 버티고 있는 정당을 유권자들이 믿고 지지할 수 있겠느냐 하는 점이다.
지금 국민의당을 향한 지지는 이념논쟁에서 탈피해 민생을 챙기는 제3의 중도정당이 탄생되기를 바라는 유권자들의 염원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 그것을 믿고 당당하게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부디 성숙한 유권자들의 의식을 믿고 정도를 펼치라는 말이다.
경고하거니와 천 대표나 김 위원장처럼 자꾸 선거 공학적인 계산을 하거나 자신의 이해득실만을 따진다면 결국 유권자들도 등을 돌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