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워너브라더스코리아 제공) |
사실 공유의 연기 자체에 대한 기대보다는 작품 흥행을 바탕으로 한 막연한 기대였다. 공유는 ‘부산행’과 ‘밀정’에서 독보적으로 빛나는 대신, 작품의 중심에 서서 균형을 잡는 모습을 보였다. 그의 이름은 엔딩크레딧에서 항상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일명 ‘주연급’ 배우다. 그럼에도 공유는 이같은 선택을 택했다.
‘밀정’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거사를 이루기 위한 조선인 의열단과 이를 쫓는 일본 경찰사이 추격과 암투를 그린 영화다. 모두가 극단적인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던 시기, 의열단의 김우진(공유)과 일본 경찰 이정출(송강호)이 펼치는 첩보전은 긴박감 넘치는 서스펜스를 형성했다.
이를 가능하게 한 건 마지막까지 공유가 유지시킨 ‘차가움’이였다. 극 중 송강호는 의열단과 일본경찰 사이에서 혼란스러움을 드러내며 관객들의 감정을 동요시켰다. 공유는 이런 그를 영화의 결말까지 이끌어가며 방향성을 잡았다. 김우진이 흔들렸다면 이 영화는 이정출의 무책임한 변덕으로 남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정출에게 던져진 김우진의 승부수는 관객들이 납득할만한 이야기를 완성시켰다.
영화 속에서 공유는 이정출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물을 연기했다. 그와 송강호가 함께 호흡하는 장면은 영화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해당 씬을 본 관객이라면 그를 칭찬할 수밖에 없다. 공유는 대선배인 송강호에 절대 밀리거나 주눅들지 않고 제 몫의 연기를 모두 펼쳤기 때문이다.
‘밀정’에는 송강호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명품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잠깐의 출연만으로도 관객들을 압도한 이병헌과 캐릭터에 완전히 녹아든 모습으로 영화에 긴장감을 부여한 엄태구 등이 있다. 명성만큼 자신만의 색깔이 뚜렷한 배우들 중심에 선 공유는 이들을 한데 모으는 파레트 역할을 하며 영화의 그림을 완성시켰다.
공유는 ‘밀정’에서 차가움과 동시에 휴머니스트로서의 모습을 보인다. 그가 영화에서 보인 단원들에게 보인 미소는 마치 ‘잘했다’며 다독여주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극 중 인물들이 혼란스러운 모습과 분노의 감정을 드러낼 때, 공유는 이를 단단히 뒷받침하며 ‘밀정’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러한 공유의 내공이 들어찬 연기는 앞으로의 그의 귀추를 주목하게 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