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사무실 10여곳서 자료확보… 최상목 1차관실·정책조정국장실 등도 대상
[시민일보=표영준 기자]정부가 대기업 3곳에 면세점을 추가로 내주기로 한 것과 관련해 검찰이 SK·롯데그룹과 기획재정부, 관세처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는 면세점 선정과정에서 부정청탁이나 대가성이 있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4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그룹 정책본부, 서린동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사무실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면세점 사업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세종시 기획재정부 최상목 1차관실과 차관보실·정책조정국장실, 대전에 있는 관세청 수출입물류과 사무실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3월 면세점 승인 요건을 완화하는 정책 방안을 발표하고, 이어 관세청은 4월29일 서울 시내면세점 4곳(대기업 3곳·중소기업 1곳) 신규 설치 발표를 했다. 이어 지난 6월3일에는 면세점 신규 특허 공고를 냈다.
당시 공고에는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새로 면세점에 입찰할 때 감점을 준다는 정부의 제도 개선안이 빠졌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두 기업에 회생 기회를 주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한편 SK는 SK하이닉스(68억원)·SK종합화학(21억5000만원)·SK텔레콤(21억5000만원) 등의 계열사를 통해 총 111억원을, 롯데는 호텔롯데(28억원)·롯데케미칼(17억원) 등 총 49억원을 K스포츠재단에 기부했다.
또 두 기업은 대통령 면담 직후 나란히 재단으로부터 추가 지원 요청을 받기도 했다. 재단은 SK측에 재단 출연금과 별도로 80억원을, 롯데에는 75억원을 추가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롯데는 입금 후 검찰 압수수색 직전 재단으로부터 돌려받았고, SK는 80억원이 아닌 30억원 지원으로 축소제안했다가 이후 무산됐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