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발화사고 원인에 대해 기기가 아닌 '배터리 자체결함'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아울러 배터리를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는 입장도 함께 밝혔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해 소손(燒巽·불에 타서 부서짐) 현상을 재현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고 사장은 "지난 수개월 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면서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두 종류의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고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대규모 충·방전 시설까지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삼성전자는 외국 전문기관들도 배터리 자체 결함을 갤럭시노트7의 발화원인으로 지목했다고 밝혔다. 미국 안정인증 회사인 UL, 엑스포넌트는 각각 배터리 내부의 단락과 분리막 파손으로 발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업체는 기기 본체에서의 발화와 연관된 문제를 발견하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독일 인증 회사 TUV 라인란드는 갤럭시노트7 제조 공정과 배터리 물류 시스템을 집중 조사한 결과 배터리 안전성을 저하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확인했지만, 배터리 크기와 용량 등 구체적인 사양을 주문한 입장에서 모든 잘못을 협력업체에 돌리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고동진 사장은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