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초 160만마리분 수입
O형 백신 830만마리 분량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경기 연천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 바이러스가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O+A형' 백신으로도 방어가 가능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기존 백신으로도 방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최악의 상황은 모면했으나 현재 'O+A형' 백신 재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구제역 세계표준연구소의 최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천에서 검출된 A형의 13개 분리바이러스 가운데 11개가 국내 소에 접종 중인 'O+A형' 백신의 A형 균주인 'A22 이라크'(A22 Iraq)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 백신이 이번에 발생한 바이러스의 방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구제역은 A, O, C, Asia1, SAT1, SAT2, SAT3형 등 총 7가지 혈청형으로 유형이 구분되며, 각각의 혈청형은 유전자 특성에 따라 최대 80여 가지의 하위 유형(아형)으로 나뉜다. 국내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한 건 7년만이다.
바이러스 특성상 유전자 변이가 심해 100% 일치하는 사례를 찾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상동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고 유전자 특성과 백신 종류 등을 결정한다.
농식품부가 공개한 분석결과를 보면 이번에 연천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 바이러스는 유전자 계통이 '아시아(ASIA) 동남아시아(SEA) 97' 타입이며, 지난해 베트남의 소·돼지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 99.8% 일치했다.
지난해 미얀마(소)에서 검출된 A형 바이러스와는 99.7%, 앞서 2013년 중국 광동성(돼지) 바이러스와는 99.5%의 상동성을 보였다.
다만 'O+A형' 백신 재고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차관은 "현재 백신 재고량은 O+A형은 99만두분, O형은 830만두분이며, 계약된 예정량인 O+A형은 2월말~3월초에 160만두, O형은 오는 17일과 24일 320만두분이 도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해외에서 보유하고 있는 A형 백신의 국내 발생 바이러스에 대한 적합성 분석 후 수입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