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오는 2018년 10월부터 생리대 등 외약외품에 대한 전(全) 성분 표시가 의무화된다.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생리대와 마스크, 구강 청결용 물휴지 등의 의약외품도 허가증 및 신고증에 기재된 모든 성분의 명칭을 용기나 포장에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내용을 담은 ‘약사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이달 중 공포된다. 개정법률안은 이달 중 공포를 거쳐 1년 뒤 시행될 예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생리대를 제조하는 상위 5개사는 개정 약사법 시행 전에 자율적으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전 성분을 공개하기로 했다.
이는 생리대 등은 몸에 접촉하는 물품으로 표시되지 않은 성분으로 알레르기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전 성분을 표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다.
앞서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통과된 의약외품의 전 성분을 표시하도록 하는 개정 약사법(올해 12월 3일 시행)의 경우 생리대와 마스크, 구강청결용 물휴지 등은 전 성분 표시대상에서 제외해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강권 보호에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최근 생리대의 유해성 문제를 제기한 여성환경연대는 세계 월경의 날(5월28일)을 앞둔 지난 5월2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일회용 생리대 전성분 표시제를 시행하고 유해물질 기준을 강화하며, 월경 용품 공교육을 실시하라"고 요구하는 등 성분표시에 대한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왔다.
당시 여성환경연대가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생리대 제조사 5곳의 제품 113종을 모니터링한 결과, 모든 제품 포장지에 성분의 일부분만 표시돼 있었고, '부직포'나 '펄프' 등 구체적인 화학성분이 아닌 방식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면서 이같은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