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18'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2일 이같이 밝혔다. 올해 OCED 보건통계는 주로 2016년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비교한 것이 특징이다.
세부적으로 자료에 해당 통계에 따르면 의사를 포함한 임상의사의 인구는 인구 1000명당 OECD 평균이 3.3명이며, 미국이 2.6명, 프랑스가 3.1명, 노르웨이가 4.5명, 오스트리아가 5.1명 등이었으나, 한국은 2.3명으로 가장 적었다.
의대 졸업자 수도 인구 10만명당 OECD 평균이 12.1명이며, 아일랜드 24.4명, 덴마크가 22.1명과 비교할 때 7.9명으로 OECD 평균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임상간호사도 인구 1000명당 6.8명으로 OECD 평균 9.5명보다 2.7명 적었다.
반면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17.0회로 OECD 1위였으며, 이는 회원국 평균 7.4회보다 2.3배나 높은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환자들의 1인당 평균 입원 일수는 18.1일로, 28.5일인 일본 다음으로 길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의 재원일수는 10일 미만에 불과했다.
국내 병상 규모는 인구 1000명당 12.0 병상으로, 13.1 병상인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컸으며, OECD 평균 대비 약 3배 많았다.
특히 지난 5년간 대부분 회원국에서 병상 수가 줄었지만 우리나라는 1.3배 증가했는데, 이는 국내에서 요양병원 설립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장비 보유수준은 세계 최고로, 국내 의료기관이 보유한 자기공명상촬영장치(MRI)와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는 인구 100명당 각각 27.8대 및 37.8대로 OECD 평균 16.8대 및 26.8대보다 훨씬 많았다.
수술 분야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었는데, 2015년 국내 제왕절개는 출생아 1000명당 394.0건으로 531.5건인 터키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으며, 회원국 평균인 264.0건보다 훨씬 많았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구매력평가환율(PPP) 기준 589.1달러로, OECD 평균 448.9달러보다 140.2달러나 많았다.
뿐만 아니라 1000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은 34.8DDD(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로 OECD 평균 20.8DDD에 비해 1.7배 많았고, 항우울제 소비량은 19.9DDD로 OECD 평균 62.2DDD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2017년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PPP 기준 2897달러로 OECD 평균 4069달러보다 낮았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7.6%로 OECD 평균 8.9%에 비해 낮았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65세 이상 인구 중 장기요양 수급자(7.8%)와 GDP 대비 장기요양지출비의 비중(0.9%)은 아직 OECD 국가 중 낮은 편이지만,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