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류 메타버스 K-원더랜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함께 운영하고 있다. 기반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다.
진흥원은 2022년 10월 탄생한 K-원더랜드를 알리기 위해 이벤트와 홍보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가상세계를 활용해 한류 팬들은 언제 어디서나 K-컬처를 즐기고, 또 직접 K-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다.
진흥원의 지속적인 노력 결과 2023년 12월 현재 K-원더랜드는 197개국 100만 명 이상이 방문했고, 이 중 87% 이상이 해외 이용자다.
2023년의 경우 드라마 ‘연모’, 케이팝 스타 ‘더보이즈’ 등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K-콘텐츠, K-아티스트와의 협업이 주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한류 열풍이 뜨거운 인도네시아, 일본, 미국 등에서 호응이 높았다.
올해 새로 선보인 K-원더랜드 아바타 포토부스는 약 1백만 회 이상의 활용도를 나타냈다. 포토부스를 활용한 ‘K-포즈 챌린지’의 영향이다. K-원더랜드에서 운영한 6개의 이벤트 중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던 이 이벤트는 포토부스 이용률을 끌어올린 원인으로 분석된다.
비주얼과 편의성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었다. 한국의 사계절을 반영한 테마 업데이트, 상호작용 등이다.
‘제 2회 K-원더랜드 UGC 어워즈’같은 참여형 프로그램도 있다. 올해는 약 200개의 작품이 응모했다. 글로벌 Z세대들이 개성을 담아 창작한 콘텐츠를 통해 K-컬처를 사랑하는 마음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이 증명됐다.
K-원더랜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0.7%가 만족(25.1%) 또는 매우 만족(65.6%)한다고 답해 고무적인 결과를 보였다. 응답자의 86.6%는 K-원더랜드 방문을 통해 K-컬처 및 한국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증가했다고도 밝혔다.
‘K-스테이지’는 여전히 식지 않는 케이팝의 인기와 실제 무대를 방불케 하는 효과로 4개 월드 중 가장 만족감이 높았다. K-스테이지 무대에서 안무와 포즈를 취하니 실제 케이팝 아이돌이 된 것 같은 즐거움이 있었다는 반응이다.
진흥원 김준형 교류사업팀장은 “전 세계 한류 팬들이 찾아오는 디지털 명소로 만들겠다”며 K-원더랜드의 향후 구상을 밝혔다. 가상세계의 강점을 살려 보다 다이내믹한 한류 놀이터를 만들겠다는 것.
K-원더랜드는 제페토 앱을 통해 누구나 방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