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권성동 원톱’ 체제? 장난하나?

고하승 / gohs@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8-28 11:14:4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주필 고하승



국민의힘이 당헌당규를 개정하고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동시에 이준석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도 당 중앙윤리위원회에 촉구하기로 했다.


법원이 주호영 비대위원장의 직무 정지를 결정함에 따라 이런 선택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런데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으로 하자는 방침을 정한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도로 ‘권성동 원톱체제’로 가자는 것인데 제정신인가.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으로 다시 하겠다는 지도부의 방침은 민심의 목소리와는 너무나도 동떨어져 있다.


애초 이런 사단이 발생한 것은 권성동 탓이다. 당 대표가 성 상납과 그에 따른 증거인멸교사협의라는 추악한 행위로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 징계를 받는 비상 상황이 발생했는데도 ‘궐위’로 판단하지 않고 안일하게 ‘사고’로 판단해 ‘원톱’ 자리를 꿰차고 앉은 것이 문제였다.


이는 이준석 전 대표에게 6개월 후에 복귀할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주었고, 당내 이준석계가 발호하는 빌미를 주기도 했다.


권성동 한 사람의 탐욕이 당을 이런 수렁으로 몰아넣었는데도 그가 다시 ‘원톱’이 되어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고 비대위를 구성한다는 게 말이나 되는 일인가.


이건 옳지 않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즉시 사퇴하고, 새로운 원내대표를 선출하고 그가 대표 직무대행으로서 새로운 비대위원장을 선출하도록 하는 게 옳다.


어차피 이준석 전 대표는 끝났다.


일단 법적 투쟁에서 ‘승리’한 이 전 대표 측은 득의양양한 분위기지만, 이로써 그나마 당내에 조금이라도 남았던 동정론이 모두 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정치적 명분을 내세운다고 해도 집권 여당을 혼란에 빠뜨린 책임론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27일 열린 의총 발언에서도 이 전 대표를 성토하는 의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석기 사무총장은 "당이 다 죽어가고 있다"라며 "이준석 본인이 책임을 말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윤핵관에 대한 반대여론 못지않게 이 전 대표에 대한 반감도 상당하다"라며 "이번 결정으로 이 전 대표에 대한 동정론도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실제로 국민의힘은 결의문을 통해 “이 전 대표의 ‘개고기’, ‘양두구육’, ‘신군부’ 발언 등 당원들에게 모멸감을 주는 언행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엄중히 경고한다. 당정은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긴밀한 협조 관계를 구축해야 함에도 이 전 대표는 오히려 대통령의 국정운영과 당 운영을 앞장서서 방해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이번 법원의 가처분 결정에 따른 당의 혼란 상황을 초래한 근본 원인은 이 전 대표의 성상납 의혹과 증거인멸교사 의혹으로 6개월 직무정지를 당한 사태에 있음을 확인하며 윤리위는 제기된 추가 징계요구안을 조속히 처리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윤리위의 추가 징계를 통한 이 전 대표 제명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윤한홍 의원은 전날 의총에서 이 전 대표의 제명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은 문제는 권성동 원내대표다.


그가 직무대행으로서 이런 일을 추진한다면, 국민의 호응을 받기 어렵다. 이준석 못지않게 권성동에 대한 반감이 상당한 까닭이다.


국민의힘 당원들은 이준석과 심리적으로 완전히 결별상태가 됐다. 이제 윤핵관이라는 권성동만 물러나면 되는 것이다. 그가 물러나지 않으면 이준석은 그걸 빌미로 끝까지 물고 늘어질 것이다.


하태경 김웅 최재형과 같은 이준석계 의원들도 그 틈새를 노리고 당을 흔들어 대고 있다. 그들은 이준석 대표가 윤리위로부터 징계를 받은 추악한 행위에 대해선 단 한마디도 거론하지 않는다. 모든 것을 윤핵관 탓으로 돌리며 ‘꼰대들의 젊은 당 대표 몰아내기’라는 교묘한 프레임으로 공격을 일삼고 있다. 그걸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권성동은 즉시 물러나야 한다. 새로운 원내대표를 선출해 그가 직무대행으로 새로운 비대위원장을 선출하도록 하는 게 옳다.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선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나절이면 가능하다. 그에 따른 혼란도 없다. 그 간단한 것조차 결정하지 못하는 국민의힘이 과연 집권 여당이 맞는지 의문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