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이 재창당추진위원회를 발족해 본격적인 재창당 작업에 돌입했다. 하지만 과연 재창당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을지 의문이다.
원내 의석 6석의 정의당이 살아남는 길은 ‘민주당 2중대론’을 탈피하는 것인데, 그간의 정의당 행보를 보면 그게 쉽지 않아 보이는 까닭이다.
실제로 정의당은 문재인 정부 시절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에 더불어민주당과 함께 찬성했던 점이 결정적 패착이었다. 그때부터 ‘민주당 2중대’라는 달갑지 않은 꼬리표가 붙었다.
그런데도 지난 3일 조 전 장관이 1심에서 자녀 입시 비리와 유재수 감찰 무마 혐의에 대해 유죄를 선고받은 직후에 정의당 지도부는 공식 논평조차 내지 않았다.
당내에서 장혜영 의원이 “당은 분명한 언어로 이번 판결의 의미를 밝혀야 한다”라는 비판의 목소리를 낸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자 마지 못해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지난 11일 “정의당의 2중대 프레임에 더는 좌고우면하지 않겠다”라며 조국 전 장관 판결을 언급했다. 이 대표는 “그 사건은 법리적 판단에 앞서 우리 사회 기득권층에 경종을 울린 비극”이라며 “정의당의 재창당은 그곳에서 시작해야 한다”라고 밝힌 것.
이 대표가 비록 “2중대 프레임에 좌고우면하지 않겠다”라고 밝히긴 했으나 미덥지 못한 이유다.
재창당추진위는 당명 변경을 포함해 강령·당헌·당규의 개정 등 재창당 작업을 이끌게 된다.
추진위는 17개 시·도당을 순회하며 당원과 지지자를 만나는 ‘재창당 전국투어’를 시작으로 활동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재창당의 핵심은 누가 뭐라고 해도 ‘민주당 2중대론’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아무리 재창당이니 뭐니 호들갑을 떨면서 당명을 바꾸더라도 ‘2중대’에서 탈피하지 못하면 백약이 무효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가능성이 엿보인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민주당은 13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특검과 관련해 정의당과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의당은 전날 김 여사 특검에 대해 "지금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민주당과 거리를 둔 상태다.
이에 안호영 민주당 수석 대변인이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김 여사 특검과 관련해선 원내대표와 정의당 간 긴밀한 협의가 있을 것"이라며 "정의당도 김 여사 특검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 농성장에서 열린 상무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싼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보다 ‘소환 수사’가 선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그에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영장 실질심사의 자리에 가서 그것을 다투는 이러한 어떤 과정을 국회의원이라고 해서 거부할 수 있는 것은 하나의 특권”이라며 “불체포특권에 대한 국회의원의 특권을 내려놓자는 것이 정의당의 당론”이라고 했다.
김창인 청년정의당 대표도 “민주당이 유일한 일관성을 갖는 것은 진영 논리뿐”이라며 “자기편일 땐 방탄이고 다른 편일 때 배우자 결혼 전 사건을 탈탈 털어 끝장 보겠다는 태도다. 끔찍한 진영 논리부터 반성하라”고 질책했다.
이어 “민주당은 ‘이재명 방탄’ 꼼수로 김건희 특검을 주장하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입증해야 한다. 못 하겠으면 공정한 법집행 운운한 자격 없다”며 “모든 일엔 순서 있다. 지금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정의당이 이런 소신을 끝까지 지켜낸다면, 즉 이재명 방탄용 ‘김건희 특검’을 끝내 거부하고, 이재명 체포동의안에 대해선 당론으로 찬성한다면, ‘민주당 2중대’ 프레임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선거구제 개편 등을 미끼로 하는 민주당의 유혹에 넘어가 다시 그들과 손을 잡을 경우, 정의당은 진보정당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고, 결국 국민으로부터 ‘민주당 2중대’라는 손가락질을 받으며 침몰할 수밖에 없다. 정의당의 행보를 국민과 함께 지켜보겠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