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면서 권성동 원내대표의 거취문제가 새로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11일 현재 당 일각에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비상 상황에 대한 책임을 지고 원내대표직을 사퇴해야 한다"라는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설령 원내대표직을 유지하더라도 비대위에서는 빠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따라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권 원내대표가 당연직 비대위원으로 참여하는 것에 대해 취임 첫날까지만 해도 “당헌-당규상 어쩔 수 없다”라는 입장이었지만, 전날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서는 “고민해보겠다”라고 태도를 바꿨다. 당내에서 ‘권성동을 배제해야 한다’라는 목소리가 거센 탓이다.
그런데도 권성동 원내대표는 당연직 비대위원으로 참여하겠다는 완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전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권 원내대표는 ‘당연직 비대위원에서 빠질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라는 기자의 질문에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라고 쏘아붙였다.
국회 본청을 나가는 권 원내대표를 향해 ‘어디 가시나’라고 기자가 묻자, 그는 “그런 걸 왜 물어보나. 그게 취재냐”라고 불쾌한 심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참으로 뻔뻔하기 이를 데 없다. 비대위원이라는 감투를 내려놓지 못하는 그의 ‘탐욕’이 집권당을 또 한 번 혼란에 빠뜨리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자리에 대한 욕심이 지나친 사람이다. 그의 욕심이 당을 깊은 수렁으로 밀어 넣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사실상 복귀가 불가능한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정무적으로 ‘궐위’라고 해석해도 되는 것을 굳이 ‘사고’로 해석해 원내대표와 직무대행을 겸직하는 ‘원톱’ 자리를 꿰차고 앉았다.
하지만 그 탐욕의 대가는 참혹했다.
이준석 대표에게 ‘6개월 후 당 대표로 복귀할 수 있다’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었고, 그로 인해 당은 깊은 수렁에 빠지고 말았으며, 결국 ‘권성동 책임론’이 빗발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또 비대위원 자리까지 탐하는 그를 보니 걱정된다.
사실 그는 비대위원은커녕 당장 원내대표직부터 내려놓아야 할 사람이다.
정우택 의원도 최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이 상황까지 권 원내대표의 책임도 없다고 할 수 없다.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합의를 봐준 문제, 9급 공무원 최저임금 연계 발언, 최근 대통령 문자 유출 문제 등이 복합돼 문제가 터졌다”라며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에는 권성동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하는 글이 잇따르기도 했었다.
이런 상태라면 권성동 원내대표는 스스로 비대위원을 맡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게 맞다. 그게 상식적인 선택이다.
원내대표직을 유지하는 이상 당헌 당규상 비대위든 최고위든 들어오게 돼 있다면, 본인이 원내대표직을 사퇴하거나 당헌-당규를 개정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게 올바른 방향이다.
일말의 양심이 있었다면, ’직무대행‘이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출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할 때 이 규정도 함께 개정했어야 했다. 아니면 지금이라도 원내대표가 당연직 비대위원이 되는 조항을 바꾸라.
그렇지 않고 비대위 회의에 계속해서 권성동 원내대표의 얼굴이 화면에 비치면 국민이 그런 집권당을 과연 신뢰하고 지지하겠는가.
앞으로 비대위에 들어가서 잘하겠다는 말로는 안 된다.
한두 번도 아니고 이미 수차례나 잘못을 저질렀고, 그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과 여당 지지율을 갉아먹었는데, 앞으로는 잘하겠다는 말을 누가 믿겠는가.
의원총회에서 ‘재신임’이라는 ‘꼼수’ 절차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하겠다는 음흉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소문이 들린다. 아서라.
사실이라면 동료의원들은 눈감아 줄지 몰라도 정의감이 넘치는 당원들의 거센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무능을 깨닫고 원내대표직을 내려놓고 국민과 당원 앞에 사과하는 것이다. 그보다 더 좋은 선택은 자신으로 인해 당이 혼란에 빠진 것을 반성하며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것이다. 그런 선택을 할 수 없다면 최소한 자신이 비대위에 들어가지 않는 쪽으로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노력이라도 보여야 한다. 다만 탐욕이 그득한 그가 그런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