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이 의원은 “국정과제 ‘휴식있는 삶을 위한 일·생활의 균형 실현’의 추진에 따라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 ‘육아휴직 확대 등을 통해 일가정 양립 확산’ 등 일·생활 균형의 정책적 중요성이 강화됐다”며, “정부는 지난 2017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표개발 및 조사’를 통해 지역별 일·생활 균형지표를 개발했다”며, “매년 말 지표를 공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0년 12월에 발표한 2019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에 따르면 충남은 17개 특별·광역시·도 가운데 15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7개 광역시도별 일·생활 균형지수는 46점으로 전국 평균인 50.5점을 넘지 못하는 수준이고, 가장 높은 서울(58.8점)과의 점수 격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의 경우 2019년 발표한 2018년의 기록보다 후퇴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이 의원은 “일·생활의 균형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적 방안”이라며, “충남의 5대 목표, 8대 핵심과제 달성을 통한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일·생활 균형에 있어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