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도림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폭이 좁아 비가 오면 수위가 빠르게 차서 하천 범람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며 “실제로 지난 8월 폭우에 따른 서울시 전체 피해(2만1106건) 중 도림천이 흐르는 관악(5109건), 영등포(4188건), 동작(4183건), 구로(2026건) 등 4개구에 피해가 73.5%나 집중됐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번 피해는 서울시가 당초 계획했던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을 7곳에서 1곳으로 대폭 축소하는 등 지난 10년간의 수방대책 실패로 인해 그 피해가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또한 “주민들이 운동도 하는 하천을 개발해서 서울 시민들에게 여가 공간을 제공해야 하는데 안전사고 예방과 악취 부분이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악취저감 및 취약환경개선을 위한 용역 등을 통해 대응 방안을 마련해 도림천 상류부터 하류까지 연계된 하천 정비와 공간 재편을 신속히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도림천과 안양천, 탄천 등의 지천에 수변 감성도시 시설물을 집어넣기 전에 악취를 100% 제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며 “순차적으로 예산이 반영돼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도림천에는 11월까지 빗물 배출구의 악취 개선을 위한 시설물 구조 개선이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 시장은 “오수 낙하 지점이 산책로에 가까이 있는 것은 개선 사업을 해야 해서 차근차근 계획을 세우겠다”며 “임기 중에는 도림천, 안양천, 탄천 지역에서 악취가 사라졌다는 주민들 평가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에 김 의원은 “서울시민의 안전과 도림천 이용편의 제고를 위해서 도림천 악취저감과 환경정비에 힘을 모아줄 것”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