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尹 정부 방역’에 우려 목소리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2-07-20 14:25:5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윤태호 교수 “메시지 명확하지 않아 국민 불안”
엄중식 교수 “당장 유행 규모 줄이는 전략 없어”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최근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가 다시금 급증하면서 재유행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방역정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을 지낸 윤태호 부산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20일 오전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의 메시지가 국민들이 납득할만큼 명확하지 않아 불안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확진자수 30만명까지 가더라도 우리가 준비해 놓은 의료 대응이나 방역적 역량에 비춰봤을 때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지 않고도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한다면 굳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현 정부의 ‘과학 방역’에 대해서도 “이전 정부에서 과학이라는 부분들을 완전히 무시하고 방역했는가. 방역은 가용 가능한 과학적 근거가 있으면 그것을 최대한 방역에 활용하는 게 맞다”며 “전 정부는 비과학적이고 현 정부는 과학적이라고 구분 짓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국가주도의 방역은 우리가 지향할 목표가 아니다’라는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의 발언에 대해서는 “국가가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지만 국가가 해야 할 역할이 있고 국민의 협조와 참여를 구해야 할 영역이 있다”며 “국가가 모든 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한다는 의미로는 그렇게 할 수는 없다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국가의 책임성이라는 부분들이 줄어드는 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감염병 대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국가의 주도와 국가의 책임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가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지만 국가가 책임감을 가지고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책임성은 절대 줄어들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현 상황에서 정부의 방역 정책과 관련해 “당장 정부의 대책을 보면 유행 규모를 줄이기 위한 전략은 없다”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유행의 규모를 줄이려면 유행이 시작하게 됐을 때 선제적으로 거리두기를 해야 하는데 그런 대응을 하지 않겠다고 결정을 했기 때문에 지금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이동량, 접총량의 증가, 백신접종률, 그리고 변이의 전파력에 그냥 맡겨진 대로 흘러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면서 “이런 피해를 최소화해야 하는데 피해의 대부분은 60대 이상의 연령군, 그리고 장기적ㆍ만성적 질환을 갖고 있거나 면역저하질환을 갖고 있는 분들인데 이 분들을 어떻게 보호할 건지에 대한 전략이 확실하고 조금 더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미크론보다 유행의 규모는 작은데 실제로는 사망자가 더 나오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빨리 챙겨야 한다”며 “그리고 병상 확보를 위해 행정명령을 하든지 어떤 형태로든 일정 규모 이상 확보를 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들이 집중적으로 논의가 되고 빨리 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