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스파이' 10년 내 최다 적발··· 기술 유출 등 146건 송치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11-14 15:03:0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해외 기술유출사례 21건··· 작년 比 75%나 늘어
공장자동화 솔루션 등 국가핵심기술 2건 포함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올해 경찰에 적발된 해외 기술유출 송치 건수는 전년(12건) 대비 75% 증가했다.

 

이는 최근 10년 내 최대치 기록으로, 디스플레이 등 국가핵심기술도 2건 포함됐다.


14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에 따르면, 2∼10월 9개월간 산업기술 유출 등 경제안보 위해범죄를 특별단속해 해외 기술유출 21건을 포함한 총 146건을 송치했다.

국수본 관계자는 “올해 경제안보 위해범죄 수사와 관련해 시도청 산업기술안보수사대 격상 등 기반 구축, 기술유출 분야 인터폴 보라색 수배서 최초 발부 등의 성과가 있었다”며 “내년에는 ‘범정부 기술유출 합동 대응단’에 적극 참여해 주요 기술의 해외유출 사범을 검거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체 경제안보범죄 사건 중 해외 기술유출 비율은 14.4%로 2021년 10.1%, 2022년 11.5%에 이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외 기술유출 사건을 죄종별로 구분하면 국가핵심기술 2건을 포함한 산업기술보호법 6건(28.6%), 부정경쟁방지법 15건(71.4%)이었다.

피해기술은 디스플레이 8건, 반도체·기계 3건, 조선·로봇 1건, 기타 5건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사례를 살펴보면 외국 정부 보조금 지원 연구사업 신청 목적으로 시술 로봇 관련 영업비밀을 유출한 외국 국적의 전 로봇개발팀 연구원이 검거됐다.

또 국내외 업체에 국내 대기업의 공장자동화 솔루션을 유출하고 LCD 공정 레시피 등 국가핵심기술을 은닉해 외국에 유출하려던 협력업체 대표 등 5명도 붙잡혔으며, 피해업체 대표가 해외에 장기 체류하는 사이 산업기술을 외부저장장치에 저장·유출 후 외국 경쟁업체로 이직해 사용한 전 연구원 등 4명도 검찰에 넘겨졌다.

특히 국수본은 올해 처음으로 경제안보 위해범죄 특별단속 대상에 방위사업 분야 범죄를 포함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기관과 공급 계약을 체결한 후 지급보증을 받은 착수금 27억원을 편취한 피의자 5명(구속 1명)을 검거했다.

또한 방위산업체에서 취득한 방산기술 및 영업비밀을 유출한 전 피해업체 임원 등 5명을 검거하고 1800만원 상당을 기소 전 몰수했다.

한편 기술유출이 의심되거나 피해를 당했다면 경찰청 홈페이지 내 '산업기술유출·방산비리 신고센터'에 신고하거나 시도청 산업기술안보수사대를 통해 상담받으면 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