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때 부채 1억 4441만원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창업 후 평균 6년6개월간 영업하고 평균 1억원의 부채를 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지난 1월21일~2월18일 2021년 이후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을 받은 폐업 소상공인 820개 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들 소상공인의 창업 후 폐업까지의 영업 기간은 평균 6년 6개월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 중 3년 미만의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에 달했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폐업 사유로는 복수응답으로 수익성 악화·매출 부진이 86.7%로 가장 많았고, 적성·가족 등 개인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준비(26.0%), 임대 기간 만료나 행정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 등이 뒤를 이었다.
수익성 악화· 매출 부진의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에 따른 고객 감소와 인건비·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 등이 꼽혔다.
숙박·음식점업은 복수응답 결과 배달앱·숙박앱 등 온라인플랫폼사의 수수료·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 대비 높게 나타났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 기준 부채액은 평균 1억236만원으로 조사됐다는 게 중기중앙회의 설명이다.
제조업의 평균 부채액이 1억4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의 1.5배를 웃돈다.
폐업에 들어간 비용은 평균 2188만원이었다.
조사 결과, 폐업 절차에서 겪는 애로사항은 생계유지 방안 마련(31.1%)이 가장 많았고, 권리금 회수와 업체 양도(24.3%), 대출금 상환(2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폐업 과정에서 노란우산 공제금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71.1%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58.9%가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8.2%는 희망리턴패키지, 새출발기금 등 정부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폐업 시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대출금 상환 유예·이자 감면, 폐업 비용 지원, 진로 지원, 자영업자고용보험·노란우산공제 확대 등이 꼽혔다.
폐업 후 재창업하지 않은 응답자 400명 중 59.3%는 동일 소득수준이 예상될 때 취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