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선 때 이른 '초열대야'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올해 여름 열대야 일수가 7일을 넘어서며 역대급 긴 열대아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29일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올해 6월1일∼7월28일 열대야 일수는 7.1일로, 1994년 8.6일 이후 30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폭염은 1994년과 2018년처럼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한 터라 두 해를 능가하는 무더운 여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해 첫 열대야는 지난달 10일 강릉에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6일 빠른 기록이다.
6∼7월 평년(1991∼2020년 평균) 열대야 일수는 2.7일이다. 월별로 보면 평년 기준 6월에는 열대야가 없었고 7월에 2.7일 발생했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6∼7월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94년로, 8.6일(6월 0.1일·7월 8.5일)이었다.
가장 더웠던 여름으로 꼽히는 1994년과 2018년 중 2018년 7.1일(6월 0일·7월 7.1일)과 같고 1994년보다는 1.5일이 적다. 다만, 7월이 아직 이틀 남은 만큼 2018년 기록은 넘어설 전망이다.
간밤에는 강원 속초(30.6도)와 강릉(30.4도)은 밤 최저기온이 30도를 웃돌며 ‘초열대야’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지역별로 보면 곳곳에서 기존 일최저기온 기록을 갈아치웠다.
속초는 기존 1위였던 2002년 8월 1일 29.2도를 넘어서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30도를 돌파했고, 동해(29.8도)와 영월(26.1도)도 역대 가장 무더운 밤을 보냈다.
전날에는 창원(28.3도), 보령(28.2도), 정읍(28.0도), 남원(27.3도), 고흥(27.9도)·강진(28.4도)·영광(27.1도)·장흥(27.1도)·보성(26.6도), 파주(26.7도), 강화(27.3도), 서산(27.6도), 울릉도(27.9도), 대관령(23.1도)이 일최저기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봉화는 28일 24.3도에서 29일 24.5도로 역대 1위 기록을 이틀 연속 경신했다.
8월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8년 9.4일이었다. 1994년과 2022년이 7.9일로 그 뒤를 이었고 두 해는 9월까지 열대야(각 0.3일)가 이어졌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