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근무 휴직제’ 도입 딜레마

시민일보 / / 기사승인 : 2003-09-03 17:51:2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서울시, 기업들 외면에 고민 서울시가 업무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해 공무원을 민간기업에 순환근무토록 하는 `민간근무 휴직제’를 도입했으나, 정작 공무원을 채용하려고 나서는 기업이 없어 고민에 빠졌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까지 시 공무원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을 공모했으나 공식적인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3일 시는 20여개 기업의 인사 담당자 대상으로 `서울시 공무원 민간기업 채용설명회’를 여는 등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벌였으나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S, L, D 또다른 D 등 대기업 4곳이 공무원 채용 의사를 보이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채용 신청서를 제출한 곳이 아직 없다”며 “이에 따라 시간을 갖고 기업들과 의견을 조율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기업들이 공무원 채용에 선뜻 나서지 않는 것은 굿모닝시티 등 서울시가 관련된 비리사건을 의식해 시 공무원 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기업들이 시 공무원을 채용했을 때 로비를 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비쳐질까 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며 “공무원 채용을 원하는 기업체도 기업명이 알려지는 것을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채용 의사를 보인 기업측과 `물밑 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공개적이고 투명한 채용 방식을 통해 잡음의 소지를 처음부터 차단하겠다던 시의 당초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한편 시는 3∼5급 공무원 501명 중 461명을 대상으로 민간근무 휴직제도에 대한 수요를 조사한 결과, 56.2%(259명)가 민간기업 근무를 위해 휴직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나 정작 민간기업 근무를 신청한 공무원은 7명에 그쳤다.

시 관계자는 “아무래도 6개월에서 3년간 자기 자리를 비워둘 경우 돌아와서 인사상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는 걱정이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시는 `민간근무 휴직제’라는 파격적인 인사제도안을 꺼내들었지만 아무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는 `찾 잔 속의 태풍’으로 끝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