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회가 15일 “한강투어선 요금책정을 위한 조례개정안에 대하여 서해뱃길 사업 전면재검토를 주장하는 시의회 다수당인 민주당이 유람선 영업을 허가하지 않아 고철덩어리가 돼가고 있으며, 관리비도 한달에 수백만원에 달한다”는 <중앙일보>의 전날 보도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는 이날 “한강투어선은 원래 한강에서 유람선을 운영하고 있는 C&한강랜드에서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던 ‘공연전용유람선’ 사업이 무산되면서, 오세훈 전 시장의 한강르네상스 치적홍보를 위해 시민의 세금 112억원을 투입하여 건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환수위는 또 시의회에서 관련 조례개정안이 통과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우선 한강투어선 승선요금이 예산편성당시에 제시하였던 어른 5000원에서 1만원으로 두배가 인상되었기 때문”이라며 “현재 한강에서 운항중인 유람선은 적자를 겨우 면하고 있고, 수상택시는 매년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상태에서 투어선을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고,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이해조정과 시민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보류된 것으로 서해뱃길 사업과는 무관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환수위는 “기존 유람선, 수상택시 사업자와의 이해조정이나 한강의 수상이용활성화에 대한 공청회 등 시민들의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공감하에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서울시에도 요구한 바 있다”며 “그런데도 정작 서울시에서는 지난 9월 제233회 임시회까지 아무런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으면서, ‘배를 만들어 놨으니까 운항할 수 있도록 해달라, 아니면 시의회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따라서 환수위는 “오는 10월6일 제234회 임시회 이전까지 보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관계자에 대한 문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