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서울시립대생 10명중 3명꼴로 학자금 대출을 받고 있으며, 이들 대출자중 2.5명꼴로 연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서울시립대가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재정경제위원회?동대문3)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립대 재학생 1만118명중 2,575명(27.2%)이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년 대비 4.9%(314명)로 상승한 것이다.
이를 대학과 대학원으로 구분하면, 대학생은 7,953명의 재학생중 2,123명(26.7%), 대학원은 2,165명중 452명(20.9%)이 대출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학자금 대출자 2,575명을 대상으로 연체자를 조사한 결과, 장기?단기 연체자는 645명으로 25%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자금 연체자들이 대출한 금액은 17억7600여만원이고, 이중 연체금은 4200여만으로 드러났다.
특히 학자금 대출자중 대출을 상환하지 못해 은행에서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위변제를 실시한 구상채무자는 72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유형은 대학생이 60명, 대학원생이 12명으로 나타났고, 구상채무발생잔액은 2억5000여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인호 의원은 “시립대의 연체율은 일반 국공립대학의 연체율인 2.9%보다 2배 이상 높은 6.4%로 문제가 심각하다”며 “서울시립대가 국공립대학중 등록금이 가장 저렴한 곳인데도 연체율이 높은 것은 우리 경제가 얼마나 얼어 붙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학자금 연체자에 대한 시립대 차원의 관리 체계의 시스템 구축해야 한다”면서 “박원순 시장이 추진중인 서울시립대 반값등록금이 조속히 시행해 등록금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립대 교수의 연구실적 양극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립대가 김인호 의원에게 제출한 2010년 교수 연구실적 자료에 따르면, 서울 시립대교수 378명중 121명(32%)은 학술등재지급 연구실적이 전무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연구실적이 2년 동안 단 한건도 없는 교수가 65명(17.2%)에 달한다”며 현행 연구실적 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