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서울시가 올해부터 실시된 ‘반려동물 등록제’에 고양이도 포함시키는 방안 등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동물복지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법적ㆍ제도적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둔 ‘서울 동물복지계획 2020’을 마련, 11일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이번 종합계획은 ▲반려동물 ▲유기동물 ▲길고양이 ▲반려목적외 모든 사육ㆍ실험 동물 ▲시민참여 유도 등 5개 분야의 19개 핵심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시는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와 긴밀한 협의를 거쳐 목표 시점인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실현해 나갈 계획이며, 이를 통해 버려지거나 길을 잃어 매년 1만1000여마리에 이르는 유기동물을 2020년까지 절반으로 감소시키고 입양율과 주인 반환율은 95% 수준으로 높인다는 목표다.
우선 시는 2020년까지 시내 30만㎡ 이상 대형 도시공원에 3곳을 추가 조성하고, 동물 진료를 하기 전 비용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불편이 있어 반려동물 소유주에게 미리 진료비를 알려주는 ‘진료비 자율게시’를 서울시 수의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 수의사회와 협력해 2016년부터 취약계층 반려동물 중성화수술 지원을 추진할 예정으로 사업에 참여할 시내 동물병원을 모집, 시가 병원에 현판 제작을 지원하고 지원병원은 취약계층에 대해 반려동물 중성화비용을 감면해 주는 방식이다.
시는 이와 함께 유기동물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반려고양이도 동물등록제 대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올해 동물보호법 개정을 건의하고 동물보호법 개정 전이라도 고양이 등록을 원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자율등록 하도록 한다.
유기ㆍ유실을 방지하는 동물등록제 본래의 목적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등록방식을 내장형 마이크로칩방식으로 일원화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 최초로 마련된 ‘서울 동물복지계획 2020’이 동물보호와 생명존중에 대한 시민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고,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고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동물복지 향상은 결국 사람복지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