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이 ‘2.8 전당대회 전대룰’을 놓고 계파 갈등에 이어 영호남 지역 갈등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권리당원의 지역별 인구비례 보정문제와 권역별 최고위원제 도입 문제가 영호남 지역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다.
실제 새정치민주연합 대구 8개 지역 위원장들은 2일 공동 성명서를 통해 "2.8전당대회 권리당원 지역별 인구비례 보정이 당 혁신의 출발"이라며 “전국적인 민심을 올바르게 담아낼 수 있는 '권리당원 지역별 인구비례 보정'이 반드시 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위원장들은 "2.8 전당대회는 새정치민주연합이 국민에게 혁신을 통한 정권교체의 희망을 보여주는 행사가 되어야 하지만, 시도별 인구비례와 권리당원 비율의 심각한 부조화는 자칫 민심을 왜곡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호남지역은 인구비율이 전체의 10%이지만 새정치민주연합 권리당원 비율은 56%로 추정되는 반면 인구비가 비슷한 대구경북은 권리당원 비율이 0.4%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특정 지역의 패권을 부추기는 지역 정치 행태를 타파하고 집권정당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권리당원 지역별 인구비례 보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명 발표에 참여한 지역 위원장은 김동열 중남구 지역위원장, 김성태 달서구을 지역위원장, 김용락 북구갑 지역위원장, 김학기 달서구갑 지역위원장, 김혜정 서구 지역위원장, 남칠우 수성을 지역위원장, 임규헌 달서구병 지역위원장, 조기석 달성군 지역위원장 등 모두 8명이다.
그러나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두고 관심을 모으고 있는 김부겸 수성갑 지역위원장은 이번 성명 발표에서 빠졌다.
또 최근 정치혁신실천위원회에서 제안한 권역별 최고위원제 도입 문제 역시 지역갈등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권역별 최고위원제는 비교적 결속력이 강하고 영남에서 지지를 받는 친노(친노무현)계 의원들이 주로 찬성하는 반면, 비노(비노무현)계와 호남권 의원들은 반대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비노 측 인사는 “당원 숫자가 적은 영남권에서 '야당 텃밭'인 호남권과 동수의 최고위원을 배출하는 이 제도는 사실상 영남을 근거지로 한 친노에게 힘을 실어 주는 것”이라고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