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이태식 의원은 “구미시에서는 낙동강의 수량 부족에 따른 수질 악화로 환경변화가 예견돼 낙동강 전수계의 수질보전대책을 수립해 달라고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있는 실정에서 구미로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에 큰 재앙을 불러올 것”이라고 소리를 높혔다.
특히 이태식 의원은 “낙동강의 수질이 개선되면 대구나 부산 등 어느 도시를 막론하고 낙동강 하류지역의 도시는 낙동강 물을 안심하고 수돗물 원수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대구 강정·고령보와 구미 취수원이 동일 2급수이며, 대구시에서는 18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3급수의 원수까지도 처리할 수 있는 고도 정수처리시설이 완비돼 있음에도, 또다시 3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취수원을 이전하는 것은 예산낭비를 초래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강정·고령보 인근에 미국식 터널형 강변여과수를 취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만약의 수질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운문댐 등 댐 용수를 비상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추면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지 않고도 대구시 물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고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경북도는 계속해서 구미시의 문제만으로 치부해 무관심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구미시와 함께 공조체계를 구축해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기 위한 방법에만 목을 매고 있는 대구시와 국토해양부에 대해 환경부와 공동으로 낙동강 전수계의 수질보전 대책 수립과 강변여과수 개발을 강력히 촉구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