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거취를 놓고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김기춘 비서실장은 당분간 그 자리에 남게 됐다. 비서관 3인방 문제로 논란이 됐던 청와대 제2부속실을 폐지됐으며, 안봉근 비서관은 업무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총무비서관은 인사위원회에 배석하지 못하도록 했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23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인사개편안을 발표했다.
신설키로 한 특보단에는 민정특보에 이명재 전 검찰총장, 안보특보에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홍보특보에 신성호 전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 사회문화특보에 김성우 SBS 기획본부장을 각각 임명했다.
정책조정수석에 현정택 전 KDI 원장, 미래전략수석에 조신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 민정수석에 우병우 청와대 민정비서관을 임명했다.
이 같은 인사배경에 대해 윤 수석은 "박 대통령은 임기 3년차를 맞아 국정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하는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내각과 청와대 개편을 단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총리 내정에 대해선 "박 대통령은 정홍원 총리가 그동안 여러 차례 사의를 표명했고, 최근 신년 업무보고가 끝남에 따라 사의를 수용한 것"이라며 "그래서 후임 총리에 이완구 현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내정했다"고 밝혔다.
이 총리에 대해선 "여당 원내대표로서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고, 그동안 야당과 원만히 협조하며 국회의 정상적인 운영에 기여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효과적인 추진과 공직사회의 기강 확립, 대국민 봉사와 소통의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이번 쇄신안에 김기춘 실장이 빠진 것에 대해 윤두현 홍보수석은 "지금 청와대 조직개편이 완전히 마무리된 상황이 아니다"며 "조금 더 할 일이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