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0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5년 물가정책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는 유가 하락 효과가 제품 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가 2015년 물가정책 방향을 유통구조 개선과 경쟁 활성화 등에 두고 국민들이 물가안정 기조를 체감하고 실질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는 것이 주요골자다.
우선, 유가 등 원자재 등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감안해 공공요금의 경우 원가에서 유가 등의 비중이 큰 도시가스 요금, 항공 유류할증료 등은 가격하락 효과가 요금에 적기에 반영되도록 할 방침이다.
다만 유가 등의 비중이 낮고 서비스 개선 등이 필요한 석유류 등에 대해서는 알뜰주유소의 셀프화를 지원해 가격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가공식품은 소비자단체를 통해 원가 분석 및 정보공개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 효과가 물가 전반에 조기에 반영될 수 있도록 유통구조 개선 노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농산물의 경우 로컬푸드 직매장 확충 등 직거래를 활성화하고, 공산품의 경우 대형마트·백화점 등 유통업체, TV 홈쇼핑 분야의 불공정 행위 등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생산자물가 등 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제품가격이 변동이 없거나 상승한 일부 유화·가공식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원인 심층 분석과 함께 품목별 유통구조 개선 대책을 분기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설 물가가 안정화에도 나선다.
정부는 2월 2일부터 17일까지 사과, 배, 쇠고기, 조기 등 28개 설 성수품 및 생필품에 대한 특별 물가조사를 실시한다.
또한 배추?사과 등 15개 농축수산물의 공급물량을 평시 하루 7000t에서 1만1000t으로 1.6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물가 안정, 중소·자영업자 지원 등을 포함한 설 민생안정대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국무회의를 통해 발표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