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해커의 협박을 두고 청와대측은 ‘과장된 협박’이라는 등 논란을 잠재우려는 모양새다.
임종인 청와대 안보특보는 16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해커가 지금까지는 점점 자료 유출을 할 때 강도를 높여가면서 차분히 우리를 압박했었는데 이번에는 좀 이상한 것 같다”면서 “현재까지 악성코드 다 뒤져봐도 나온 것을 보면 300개 남짓인데 갑자기 7000개, 9000개가 남아 있다고 하니까 황당한 것이고 과장이 심하다고 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갑자기 돈도 요구하는데 돈이 목적이었다면 그렇게 안 하고 요즘 은행에서 소리 소문 없이 돈을 털어간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 기법”이라며 “(이번 의도는)굉장히 심리적이고 다른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UN사무총장 녹취록 도청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하다. 청와대에 대통령께서 통화를 하시면 그것은 특급보안으로 녹취를 해 아주 분리된 상태에서 보관하고 있다”며 “이것은 내부자가 접근하기도 쉽지 않은데 밖에서 접근하는 건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이번에 대화의 내용을 보면 그게 우리나라에서 한 것 같지 않은데 왜냐하면 보통 우리나라에서 만든 거면 대통령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반 총장이 나온다. 그런데 반 총장 앤드 대통령이라고 나와 있다”며 “시간도 서울시간이 아니고 뉴욕시간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이게 우리 문서포맷으로는 안 맞고, 그래서 추정하기에는 아마 UN에서 도ㆍ감청 돼 영문으로 된 걸 가지고 뺀 다음 한글로 번역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 소행’이라는 분석에 대해서는 “카스퍼스키라고 하는 세계적 보안회사가 있는데 그 회사가 우리나라가 지난 2011년, 2013년 계속 공격을 당했을 당시 악성코드들을 쭉 분석을 했고 결론은 ‘킴수키’라고 하는 바이러스를 사용했는데 그 작전의 모든 배후에는 북한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며 “또 발신자가 (중국)선양에 IP 12자리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에도 합수단이 쭉 조사해보니 결국 당시 ‘킴수키’가 사용했던 IP 앞의 9자리가 일치했다”고 밝혔다.
그는 “악성코드의 유사도, 발신지 부분 등을 봤을 때 북한으로 추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고, 또 북한식 표현도 있다. ‘아닌 보살’, ‘통채’ 이런 것도 일반인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건데 그런 표현을 사용한 것 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