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채종수 기자]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이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버스 요금의 거리비례제 도입과 관련, 반대입장을 밝히면서 대중교통 공공성 정책강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새정치연합은 14일 배포한 성명서를 통해 “경기도는 버스 이용률이 61.7%로 서울 36.7%나 인천시 54.4%보다 높다. 이는 경기도에서 버스요금 인상은 지역경제와 서민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임을 말해주는 것”이라며 “또 버스의 이용자도 대부분 주부나 학생, 근로자 등 서민이어서 요금 인상에 따른 서민생활의 부담은 한층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는 서울로 출ㆍ퇴근하는 인구가 많아 기본요금 인상에다 거리비례제까지 적용하면 버스이용 서민들의 부담이 직행좌석버스의 경우 많게는 1000원 가까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이는 아침, 저녁으로 장시간ㆍ장거리 출퇴근길에 고달픈 서민들에게 교통비 부담까지 등에 짊어지게 하는 고통”이라고 비판했다.
새정치연합은 “버스요금을 조정하는 기구인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에 제출한 ‘경기도 요금조정 추진계획안’에는 좌석버스의 거리비례제를 추진할 계획이 명기돼 있고, 시행시기도 기본요금 인상 후 오는 6월 또는 오는 2016년 6월 등을 검토한다고 밝히고 있다”며 “이는 경기도가 버스 업자의 이익보전을 위해 서민생활은 안중에도 없이 버스요금 인상방안을 이미 결정해놓고, 이에 더해 요금부담이 가중되는 거리비례제까지 추진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좌석버스 요금의 거리비례제를 추진하려는 경기도의 의도에 단호히 반대하며 이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또 버스요금 인상은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및 버스정책의 공공성 회복과 함께 검토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