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무분별한 개발로 상실된 갯벌을 대대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25일 '갯벌 복원을 통한 자원화 종합계획'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이 종합계획에 따르면 해수부는 ▲갯벌복원으로 해양생태계 건강성 회복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 ▲친환경 갯벌어업을 통한 어가소득 증대 등 3대 목표를 설정해 갯벌 자원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우리나라 갯벌은 2500㎢로 국토 면적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 등의 여파로 지난 1987년 이후 26년간 716㎢(여의도 면적의 247배)인 22.4%의 갯벌이 상실됐다.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갯벌의 1㎢당 연간 제공가치는 63억원으로 갯벌 전체로는 연간 약 16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갯벌복원과 갯벌을 활용한 생태관광, 갯벌어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갯벌복원 후 효과성 평가 부재, 획일화된 생태관광, 갯벌 어장의 감소 등의 문제가 거론됐다.
해수부는 갯벌자원의 가치증대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3대 추진전략을 마련해 갯벌복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지난 수십년간 개발 등으로 매립되거나 훼손된 지역의 갯벌 복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갯벌복원 전과정에 대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모니터링 실시 등 체계적인 갯벌복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생태계복원과 생태관광, 친환경 갯벌어업을 연계, 복합형 갯벌복원사업을 확대하고 갯벌복원을 위한 제도 정비, 기술개발 지원과 국제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등 갯벌복원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복원된 갯벌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우수한 자연경관과 생태자원을 연계한 생태관광 활성화를 추진한다.
갯벌복원지 등 지역별 자원특성에 맞는 생태관광모델을 개발하고 배후마을을 (가칭)해양생태마을로 지정해 지역 중심의 생태관광 기반을 마련한다.
환경보전 중심의 친환경 관광을 유도하기 위한 해양생태관광 인증제 도입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건강한 갯벌환경 조성을 통한 고부가가치 수산자원을 생산함으로써 갯벌어업 육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갯벌어장 환경개선, 친환경 어장관리 기준설정 등 건강한 갯벌환경을 조성해 갯벌 수산물 중 고소득 품종에 대해 종패기술 확보 등을 통해 어가 소득이 증대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갯벌의 무분별한 이용을 막고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보전 및 관리를 위해 갯벌어장 용도별 지정제도도 마련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