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서울시의회(의장 박래학)가 위기에 처해 있는 서울의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발전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책마련에 나선다.
22일 시의회에 따르면, 서윤기 의원(새정치민주연합·관악2)과 이신혜 의원(새정치민주연합·비례)이 전날 ‘서울특별시의회 청년발전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
서 의원과 이 의원은 “서울의 청년 실업률이 10%에 육박하며, 청년 1인가구의 주거빈곤율은 40%에 이르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삶의 위기에 처해 있는 청년이 늘어가고 있다”며 “시의회가 그동안 ‘서울특별시 청년일자리 기본조례’, ‘서울특별시 청년기본 조례’등을 제정해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마련토록 했으나, 조례 시행 1년이 지난 시점에도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없어 이에 대한 평가 및 점검을 위한 특별위원회의 운영이 필요한 실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의 고용확대, 주거 안정, 부채경감, 생활 안정, 문화 활성화 등 청년 정책이 시의 각 실국과 시의회 소관 위원회에 산재돼 있어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정책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시의회가 직접 나서서 이를 해결에 나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최근 청년 1인가구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주로 원룸이나 고시원에 거주하는 청년 1인가구 증가율이 눈에 띄며, 특히 관악구 등이 1인가구 주거빈곤율이 50%를 넘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년 1인가구는 일자리 등의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외로움, 불규칙한 식생활에 따른 건강 문제와 같은 다양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우리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하루 속히 청년에 대한 진단과 처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청년에 대한 제도적·구조적 여건이 바뀌지 않는다면 우리사회는 성장잠재력을 잃어버리고 말 것”이라며 “청년정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위해서는 시민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년발전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은 오는 11월에 있을 제264회 정례회에서 심의·의결될 예정이다. 특위가 구성되면 지금껏 청년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부진했던 시의 청년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