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결과적으로는 민심왜곡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먼저 ‘역선택’문제를 거론하면서 "지지정당을 묻고 조사한다고는 하지만 역선택, 결과적으로 민심왜곡을 막을 수 있느냐 우려가 가장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여론조사 방식의 문제와 관련, "통상 전화여론조사의 응답률이 2%도 안 된다"며 "이 경우 조직력이 강한 후보에게 유리해지는 것 아니냐. 특히 인구 수가 적은 지역구는 안심번호 동의 유권자의 노출이 쉽고 얼마든지 조직 선거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비용문제와 관련, "선거관리위원회가 관리하면 비용이 많이 든다"며 "이를 국민들이 어떻게 받아 들이냐, 국민공천 대의 공감보다는 세금공천이라는 비난이 우려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전화 여론조사와 현장투표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중요한 일들이 새누리당에서 내부적인 절차 없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졸속이라는 비판이 나오는데, 이것이 바람직한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