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난해 12월2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당사자들을 배제한 협상을 통해 모호한 사죄와 책임 통감, 모호한 일본정부 예산 지원을 전제로 한 '최종적이며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졸속 협상 타결에 오산시의회가 시민의 분노의 마음을 대변한 것이라고 시의회는 19일 설명했다.
이번 오산시의회 평화의 소녀상 건립 지지안 채택은 어린 소녀의 인권을 무참하게 유린하고 역사의 희생물로 만든 일제의 잔학한 폭력의 역사에 대한 기억과 자유와 평등, 평화와 박애, 사랑이라는 인류 보편의 소중한 가치를 새삼 일깨워주는데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오산 평화의 소녀상 건립 시민 추진위원회(공동대표 류순선외 4인)의 올해 8.15 광복절 평화의 소녀상 건립 목표가 이번 오산시의회 지지안 발의를 계기로 더욱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의회측은 밝혔다.
한편, 오산시는 1919년 3월1일 서울에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선포식후 같은해 3월28일 오산역 광장에서 800여명의 군중이 집결해 오산역사, 우편소, 주재소, 면사무소, 금융조합, 일본인 상점 등에서 다수 일본인들을 몰아냄으로써 일본경찰에 체포, 고문, 징역을 받았던 역사를 갖고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