區관계자 "설문조사로 충분히 의견 수렴…찬성 많다" 일축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서울 용산구(구청장 성장현)가 추진 중인 '용산 제주휴양소 건립사업'과 관
![]() |
||
그러나 이 같은 주장에 용산구 측은 구민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 수렴을 이미 거쳤다고 일축했다.
앞서 최근 용산구의회 정례회에서 제주휴양소 건립사업의 부지 및 건물매입비 조성을 위한 용산구 공유재산관리기금운용계획 변경을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 수시분'안이 통과된 바 있다. 해당 안은 당시 찬성 10명, 반대 2명으로 가결됐다.
이와 관련해 고 의원은 "집행부가 매입가와 리모델링비용 등 총 51억여원을 들여 조성한 용산구 양주휴양소가 구민들의 이용 부진으로 매년 1억여원의 적자를 내는 등 부실운영 돼오다 2015년에 폐쇄됐다"면서 "그럼에도 집행부가 양주휴양소 실패 요인에 대한 분석도 없이 다시 성급하게 제주도에 휴양소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가족휴양소를 매입하더라도 최소한 구민들과의 공청회 개최를 통한 주민의견수렴 절차를 거쳐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 역시 "양주휴게소가 폐쇄 후 매각을 추진했으나 번번히 유찰돼 이제껏 사용된 세금 60억원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30억원에도 팔리지 않아 현재 28억3500만원도 받지 못하는 세금낭비의 전형적인 애물단지로 전락한 실정"이라며 "사실상 구민이 낸 세금이 30억원 이상 손실됐음에도 사과나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은 채 제주도 리조트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양주휴게소가 매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주휴양소까지 매입하면 사실상 두 개 휴양소를 가진 유일한 구가 된다. 세금은 구민이 정말로 필요로 하는 곳에 집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이미 설문조사를 통해 충분한 구민의견을 수렴했다"며 "해당 사안이 법적으로 공청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실제로 구는 앞서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구민을 대상으로 한 '용산구 휴양소 건립'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휴양소 건립 필요성에 대해 전체 응답자 가운데 19%가 불필요, 매우 불필요 등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 반면 나머지 81%는 매우 필요, 필요, 보통 등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보통이라고 답한 경우를 제외하고도 필요하다는 의견은 53.9%로 부정적인 의견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세금 낭비 지적과 관련해서는 "기부채납 받은 공유재산관리기금으로 매입하는 것으로, 이 사업으로 구가 추진하는 복지사업 등의 예산이 줄어들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양주휴양소가 적자, 이용실적 부진 등의 문제로 폐쇄됐지만 제주휴양소는 구민 이용 의사가 높고 향후 재산적 가치를 고려해봐도 양주휴양소와는 상황이 다르다"며 제주 휴양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구에 따르면 제주휴양소 매입 예정 물건은 부지 4필지 1만1853㎡와 건물 2개동(연면적 4399.27㎡)이다. 48개의 객실과 세미나실, 수영장, 식당, 노래방 등을 갖췄다. 2008년 신축 건물로 최소한의 리모델링 후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